분류 전체보기2014 다시 듣고 싶은 흘러간 옛노래 메들리 25곡(전곡 가사 자막) 다시 듣고 싶은 흘러간 옛노래 메들리 25곡(전곡 가사 자막)https://youtu.be/_3eH2X4ZZiw?list=PLCvGeeZNYIAB25bumctwvtDCgLKL0fit1 2021. 8. 2. 바다의 무법자 죠스, 천안함 침몰사건(2006~2010년) 바다의 무법자 죠스, 천안함 침몰사건(2006~2010년) 천안함 사고원인 풀리지 않는 의문 1/2 2010년 3월 26일(국방부 해군시계 2006년 5월 30일) 오후 21시 12분 백령도 남서쪽 4km 해상에서의 초계함 조난구조 SOS 신호가 발생하였다. 최초의 SOS 전파 수신자는 대청도 해양경찰(통신기지 레이더망) 및 해병대 TOD 감시초소(심야광원의 육안관측) 이었으며, 즉각적인 비상연락망 조직을 구축한후 야전군 작전사령부 측에 21시 15분 조난경보 사실을 알렸다고 한다.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위치데이타 분석결과는 PCC-772 천안함 이었으며, 1987년 대한조선공사 에서 건조된후 1989년 부터 실전배치된 1,220t 소형 프리깃함 이었다. 기본제원의 길.. 2021. 7. 26. 함수 '발견' 해 놓고 멀똥멀똥 16시간이나 떠 있었던 천안함 함수 3/27 - 해경은 함수 '확보' 않고 조용히 철수함 3/28 - 군, '함미. 함수 어선이 찾았다 ' 발표 유가족(실종자가족)분들이 "군을 믿지 못하겠다" 고 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천안함이 침몰하고 이틀이 지났는데도 인명구조 소식은 커녕 연안바다에서 길이가 40m나 되는 거대구조물(함수.함미)을 찾지도 못하고 있는 황당한 상황에 가족 입장에서는 아연실색 애가 타고 한 시간이 하루처럼 느껴졌을 것입니다. 그래서 실종자 가족들의 간절한 부탁과 요첨을 받은 예비역 UDT 동지회원분들이 백령도에 들어가게 되었고 그곳에서 이헌규씨는 처음으로 한주호 준위를 만나게 됩니다. ◈ 현장에서 한 준위를 처음 만난 이헌규 UDT 동지회원 이헌규씨는 한 준위와 UDT 동기였지만 사전에 .. 2021. 7. 25. [천안함 침몰 이후] “배에 물 들어와 3번 수리했다는데”… 함장은 부인” [천안함 침몰 이후] “배에 물 들어와 3번 수리했다는데”… 함장은 부인” 입력 :2010-03-29 00:00ㅣ 수정 : 2010-03-29 00:42 가족·전역자들 의문 제기 “함장님, 중사 김경수를 기억하십니까. 늘 집에 와서 함장님을 존경한다고 했던 중사 김경수를 모른다고 하진 않으시겠죠. 두 번째 같이 근무하시는 것이니까요. 함장님 저희 가족들을 가엾게 여기셔서 솔직하게 말씀해 주십시오. 아무런 문제 없는 배였습니까?” “모든 장비, 선체 문제 없었습니다.(최원일 중령)” “주변에서 배에 물이 3번이나 차서 수리를 했다기에 제가 남편에게 천안함 타다가 배 갈라져 물 들어와서 죽으면 어떻게 하냐고 물은 적이 있습니다. 남편이 쓸데없는 얘기라고 화를 냈지만, 진짜 배가 가라앉지 않았습니까. 3번이나.. 2021. 7. 25. [천안함 침몰] 천안함침몰 2010. 3. 26. 천안함 침몰 사건(天安艦沈沒事件)은 2010년 3월 26일에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인 PCC-772 천안이 침몰한 사건이다. 줄여서 천안함 사태 또는 천안함 사건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사건으로 대한민국 해군 40명이 사망했으며 6명이 실종되었다 장례는 합동으로 4월29일 치려졌으며, 지난달 26일 천안함이 백령도 앞바다에 침몰한 지 34일 만이다. 시신조차 수습하지 못한 산화자들은 고인의 머리카락과 손톱, 해군 정복과 유품을 화장해 장례를 치르게 됐다. 2021. 7. 25. 독일 외신기자가 본 ‘광주’ “동족을 총칼로...2차대전보다 충격적이었다 독일 외신기자가 본 ‘광주’ “동족을 총칼로... 2차대전보다 충격적이었다 독일 외신기자가 본 ‘광주’ “동족을 총칼로... 2차대전보다 충격적이었다 두동강 난 5.18광주민주화운동 30주년 기념식 /연합뉴스 “동족을 총칼로… 2차대전보다 충격적이었다” 독일 외신기자가 본 ‘광주’ 직접 목격한 관만 70여개…군 “2명 사살” 발표에 실소 “시민군 미국과 대화 원해…‘희생으로 민주화’ 확인” 힐셔 전 특파원은 자신이 취재한 광주 기사가 실린 1980년 5월28일치 신문을 아직도 고히 간직하고 있다. 광주를 취재하고 5월27일 서울로 올라온 그는 정보기관 감청 을 우려해, 에서 일하는 친구의 도움을 받아 전화로 기사를 불러 송고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그날 그곳에서 본 장면은 내 평생 잊지 못하는 기억으로.. 2021. 7. 25. 5.18광주민주화운동 아~ 오월이여~ 광주여~ oo년이 지난 현재, 409명은 여전히 행방불명자로 등록되어 있으며 최초 발포 명령자와 암매장 장소는 지금도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1996년 1심에서 전두환 사형, 노태우 22년 6개월 선고 항소심에서 전두환 무기징역 노태우 17년으로 최종 선고. 추징금 각 각 약 2,205억 2,629억원, 후에 전 재산 29만원 발언 김영삼은 1997년 12월 22일 국민화합이라는 명목으로 이들을 사면복권 시킵니다. 5.18 광주민주항쟁은.... 1980년 5월에 광주지역에서 비롯된 민주화운동. 광주민주항쟁, 5.18광주민주화운동이라고도 한다. 전두환을 비롯한 신군부세력이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이다. (1)발단 유신체제의 폭압정치에 눌려왔던 국민들은 1970년대 후반부터 민주화.. 2021. 7. 25. 이전 1 ··· 221 222 223 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