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토260

▶(강원도편) 강릉 정동진 강릉 정동진 정동진(正東津)은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에 있는 동해 바닷가로, 해돋이의 명소이다. 조선시대 한양의 광화문 기준으로 정동(正東)쪽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 후 측량기술과 GPS시스템이 발전하면서, 실제로는 서울 도봉산의 동쪽으로 밝혀졌다. 1994년, 정동진역에서 촬영된 SBS 드라마 모래시계가 폭발적인 관심을 얻으면서, 더불어 정동진도 유명 관광명소가 되었다. 정동진역은 세계에서 가장 바닷가에 가까운 기차역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다.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64-3 전화033-660-3597 2022. 10. 23.
강원도 설악산 2007. 10. 4 설악산 공룡능선 ① 명승 제95호 ‘설악산 비룡폭포 계곡 일원(雪嶽山 飛龍瀑布 溪谷 一圓)’ ② 명승 제96호 ‘설악산 토왕성 폭포(雪嶽山 土王城瀑布)’ ③ 명승 제97호 ‘설악산 대승폭포(雪嶽山 大乘瀑布)’ ④ 명승 제98호 ‘설악산 십이선녀탕 일원(雪嶽山 十二仙女湯 一圓)’ ⑤ 명승 제99호 ‘설악산 수렴동·구곡담 계곡 일원(雪嶽山 水簾洞·九曲潭 溪谷 一圓)’ ⑥ 명승 제100호 ‘설악산 울산바위(雪嶽山 鬱山바위)’ ⑦ 명승 제101호 ‘설악산 비선대와 천불동 계곡 일원(雪嶽山 飛仙臺와 千佛洞溪谷 一圓)’ ⑧ 명승 제102호 ‘설악산 용아장성(雪嶽山 龍牙長城)’ ⑨ 명승 제103호 ‘설악산 공룡능선(雪嶽山 恐龍稜線)’ ⑩ 명승 제104호 ‘설악산 내설악 만경대(雪嶽山 內雪嶽 萬景.. 2022. 10. 23.
오대산 월정사 오대산 월정사 2007. 6. 8. 五臺山 月精寺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의 본사이다. 慈藏이 唐나라에서 돌아온 643년(신라선덕여왕 12)에 오대산이 文殊菩薩이 머무는 성지라고 생각하여 지금의 절터에 草庵을 짓고 머물면서 문수보살의 眞身을 친견하고자 하였다고 한다. 이때 그가 머물던 곳이 바로 현재의 월정사 터이며, 이 절은 643년 자장이 건립했다고 볼 수 있다. 주요 문화재로는 석가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하여 건립한 8각 9층석탑 (국보48호) 과 상원사 중창권선문이 있다. 이 밖에 일명 藥王菩薩像이라고도 하는 보물 제139호인 석조 菩薩坐像이있다 ↓ 일주문 일주문 "月精大伽藍" 현판은 탄허(呑虛)스님 친필입니다 ↓ 월정사 전나무 숲길 일주문에서 천왕문 앞까지 1km 남짓하게 전나무 숲길이 이어집니다... 2022. 10. 23.
철원의 삼부연 폭포.... 2007. 3. 15 철원의 삼부연 폭포.... 강원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삼부연폭포의 비경이 관광객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고 시인, 묵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명승지로 철원 팔경중에 하나라고 하네요... 명성산 중턱에 높이 20m 정도의 3층으로 된 삼부연 폭포는 사계절 마르지 않는 물과 기이한 바위가 주위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 신비로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데 이 폭포는 물이 떨어지는 세 곳이 모두 가마솥 모양으로 깊게 파여 '삼부연'이라 불린다고 합니다...... 이곳에는 후삼국시대에 궁예가 철원을 도읍으로 삼을 때 이무기 네 마리가 도를 닦고 살다가 그 중 세 마리가 하늘로 올라가면서 3개의 바위구멍을 만들었고, 이 3개의 바위구멍에 물이 고이면서 노귀탕ㆍ솥탕ㆍ가마탕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 2022. 10. 23.
강릉 오죽헌 강릉 오죽헌 2007. 5. 3. 보물 제165호. 율곡(栗谷)이이(李珥, 1536∼1584)가 태어난 몽룡실(夢龍室)이 있는 별당 건물로, 우리나라 주택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이다. 검은 대나무가 집 주변을 둘러싸고 있어서 ‘오죽헌(烏竹軒)’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오죽헌은 조선 중기 사대부 주택에 많이 나타나는 별당과 그 평면형식을 같이 한다. 겨레의 어머니 신사임당, 민족의 스승 율곡 이이의 탄생, 오죽헌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에 위치한 오죽헌은 우리나라 보물 제165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목조건물로, 신사임당과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태어난 유서 깊은 집입니다. 오죽헌은 조선시대 문신 최치운(崔致雲, 1390~1440)이 지었으며 율곡 이이의 이종사촌인 권처균(權處均)이 집주위.. 2022. 10. 23.
영주 태백산 부석사 영주 태백산 부석사 2007. 6. 10.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677년) 때의 고승 의상대사가 창건한 절로 우리나라 화엄종의 종찰로 꼽힌다. 화엄종을 이어온 대부분의 고승들이 이곳에서 배출된 것이다. 궁예가 자신의 아버지인 경덕왕의 초상화를 칼로 찔렀다는 일화가 전해지는 역사 속 절이기도 하다. 그리고 다른 절에서는 부처가 정면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곳에서는 고려시대의 불상 소조여래좌상이 왼쪽, 즉 서쪽에서 동쪽을 보고 앉아 있다. 이 부처 또한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경내에는 무량수전(국보 18호) ,조사당(국보 19호) 소조여래좌상(塑造如來坐像:국보 45호) ,조사당 벽화(국보 46호)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17호)등의 국보와 3층석탑· 석조여래좌상 · 당간지주 (幢竿支柱) 등의 보물, 그리고 .. 2022. 10. 23.
동해안 추암 해변 촛대바위 2007. 9. 10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22. 10. 23.
강화 고인돌(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07. 8. 13 강화 고인돌 joshua 2010.04.09 22:12 http://blog.daum.net/ilovejoshua/11275816 고인돌은 누구의 무덤이었을까? 아니면 영역을 표시하고자 하는 상징물이었을까. 고인돌을 말할 때 우리나라에서 빠지지 않는 곳이 세 곳 있다. 전북 고창, 전남 화순, 그리고 강화. 각각의 지역 위치가 다르듯이 고인돌의 형태도 모두 다르다. 한강을 중심으로 이남, 이북으로 구분하여 본다면 강화도의 고인돌은 북방식, 고창, 화순의 고인돌은 남방식이라고 부른다. 물론 명칭만 그렇게 부르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현태에 따른 차이도 있다. 북방식 고인돌은 덮개돌이라고 부르는 상단의 돌이 넗고 평평하고 덮개돌을 지탱하고 있는 굄돌(받침돌)은 서로 수평을 유지하며 두개가.. 2022. 10. 23.
[관음성지] (강원) 낙산사(洛山寺) 2007. 6. 15 관세음보살이 항상 머무른다는 낙산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로, 통일신라 문무왕 16년(676) 의상대사가 지었다고 한다.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의상은 기도를 하다가 관세음보살을 만나 보살이 가르쳐 준 곳에 법당을 지은 후 낙산사라 하였다. 그 후 여러 차례에 걸쳐 다시 지었는데, 현재 원통보전을 비롯하여 종각·일주문·천왕문·선실·승방 등의 건물이 남아있다. 관세음보살을 보신 원통보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놓인 다포양식의 건물이다. 절 옆에는 의상이 붉은 연꽃 위에 나타난 관음을 만나 불당을 지었다고 전해지는 자리에 홍련암이 있고, 의상이 앉아서 .. 2022.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