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토/국내여행94

장성 내장산 내장사 단풍 2013. 6. 10. 내장산 설경 위치 : 전북 정읍시 내장동,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주요정보 : 관광정보, 시설안내, 이용요금 주변안내 : 변산반도, 덕유산, 무등산 Daum지역정보 : 주변 음식점 정보 | 주변 숙박 정보 내장산국립공원 http://naejang.knps.or.kr/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입암면, 순창군 복흥면,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의 경계에 있는 산. 높이 763m. 노령산맥의 중앙에 솟아 있으며, 주봉인 신선봉을 비롯하여 월령봉·서래봉·연지봉·장군봉 등 600~700m의 기암괴봉들이 동쪽으로 트여 말굽 모양을 이룬다. 예로부터 대한8경의 하나로 꼽혔으며, 지리산·일출산·천관산·능가산과 함께 호남의 5대 명산으로 손꼽힌다. 철따라 각각 다른 모습을 보여주며, 특히 가을 단.. 2022. 9. 14.
장성 백암산 백양사 2013. 6. 5 백양사 고불매(천연기념물) 주소/문의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신성리 | 약도보기 | 061) 392-7288교통정보: 백양사역에서 백양사방면 버스 탑승 후 백양사정류소 하차 (60분 소요) 더보기산악정보: 상세정보 | 날씨안내Daum지역정보 주변 음식점 | 주변 숙박 백암산바로가기 www.koreasanha.net/infor/best_fall_13.htm 백양사바로가기 http://baekyangsa.kr 백양사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다. 632년(백제 무왕 33) 여환(如幻)이 창건하여 백암산백양사라고 했으며, 1034년(덕종 3) 중연(中延)이 중창하면서 정토사(淨土寺)라고 개명했다. 1350년(충정왕 2) 각진국사(覺.. 2022. 9. 14.
함평 나비축제 전남 함평군‘27억→150억’ 몸값 5배 함평 황금박쥐 이사간다기자고경주수정 2024-03-19 18:13등록 2024-03-19 18:00전남 함평군 황금박쥐 생태전시관에 있는 황금박쥐상 모습. 함평군 제공 순금으로 만든 전남 함평군 ‘황금박쥐상’이 4월 새 보금자리로 옮긴다. 제작 당시 순금 매입 비용만 27억원에 달해 ‘세금 낭비’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지만 금값이 치솟으면서 지금 시세로는 금의 가치가 약 150억원에 달한다. 19일 함평군은 “기존 화양근린공원 내 황금박쥐 생태전시관에서 전시 중인 황금박쥐상을 엑스포 공원 내 함평문화유물전시관으로 옮겨 제26회 나비대축제 개장에 맞춰 4월26일 대중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황금박쥐 5마리가 날개짓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황금박쥐상은 2008년 순금 16.. 2022. 9. 14.
화순 운주사 2013. 7. 1 화순 운주사 천불천탑(千佛千塔)과 와불(臥佛)의 운주사(雲住寺). ↑줄무늬가 고래문양과 유사하게 종대로 디자인된 운주사 미륵불 평평하고 길쭉하 이유와 발끝 쪽이 뭉퉁한 것은 뱃길에 이동용으로 만든 배 바닥짐돌(ballast)로 사용한 흔적이다. 관련글: 운주사(雲住寺) 미륵불의 줄무늬는 고래에서 유래했을까? ↑운주사 석조불감(石造佛龕) 신을 모신 이동용 가마(神輿)를 형상화했다고 보여진다. 불상이 아닌 앞뒤로 등을 맞댄 두 개의 쌍신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조여래불감 안에 모셔진 항해신인 명신(明神)과 명신(冥神) 보수를 위하여 해체되었을 때 촬영된 것으로 앞뒤로 한 쌍의 일월신 형태이다. ↑운주사 석조불감. 단독 불상을 모아 놓은 것이 아니다. 등이 평평하게 한 것은 처음부터 등을.. 2022. 9. 14.
화순 쌍봉사(우리지역문화재) 2013. 6. 28. ↓ 대웅전 ↓ 극락전(전남 문화재 자료 제66호) ↓ 호성전 철감선사와 조주선사등의 진영이 모셔진 전각 ↓ 지장전 ↓ 대웅전 목조삼존불상 (전남 유형문화재 제251호) 조선숙종 20년(1694) 조성되었으며 석가여래상을 중심으로 가섭존자와 아난존자가 양옆에 서있는 특이한 형식의 삼존불상이다. ↓ 철감선사탑(국보 제57호) 탑은 8각 원당형(圓堂形)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각 부분의 조각은 매우 정교하며 아름답고 그 시대의 부도 중 최대의 걸작품으로 알려저 있다 국보 제57호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 쌍봉사(雙峰寺)에 세워져 있는 철감선사의 탑이다. 철감선사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28세 때 중국 당나라로 들어가 불교를 공부하였다. 문성왕 9년(847) 범일국.. 2022. 9. 14.
고창 고인돌유적지(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13. 4. 27 역사의 숨결 - 고창 고인돌유적지/ 이영성 2012.07.13. 09:15 수천 년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세계적인 문화유산 일반적으로 고창지방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의례 조선시대 초기의 석성인 고창읍성이나 동백꽃으로 유명한 선운사를 찾게 마련이다. 그러나 고창에는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한 고인돌 유적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다. 고창읍에서 아산을 거쳐 선운사로 가다 보면 상갑리라는 마을을 지나가게 되는데 이 일대 야산에 크고 작은 고인돌이 즐비하게 널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바로 이 지역이 세계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거니와 다양한 형식이 한 곳에 모여 있는 점이 높이 평가되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유적지다. 인류가 돌을 이용하여 .. 2022. 9. 14.
목포 유달산 2013. 3. 23 노적봉 큰바위 얼굴. 목포를 굽어보고 있는 이순신 장군 동상 달선각 유달산에서 바라본 삼학도 삼학도는 목포의 상징이기도하다. 3마리의 학이 내려앉아 섬을 이뤘다는 전설을 지니고 있는 삼학도는 유달산과 함께 목포의 상징적 공간으로 시민의 정서 속에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본래 3개의 섬이었던 이 곳이 1968~1973년 연륙공사와 간척공사로 육지화되면서 정부기관과 호남제분, 한국냉동 등 공장들이 들어서 옛 모습을 상실했다. 갓바위 가수 이난영의 노래비 목포의 눈물은 가사가 여러차례 바뀌었는데, 노래비의 가사는 1969년 노래비 제막 당시에 불리워졌던 가사라 한다.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은 1935년 처음 취입되었다고 한다. ▲ 앞에 보이는 섬 고하도의 용머리, 정면의 섬 "장자도", 건.. 2022. 9. 14.
영암 월출산 2013. 3. 21 ▲ 큰바위얼굴 ▲ 육형제바위 ▲ 갓바위 ▲ 돼지바위 ▲ 남근석 ▲ 베틀굴 ▲ 국보 144호인 마애여래좌상 ▲ 월출산아침 ▲ 월출산운해 월출산 사자봉릿지 개 요 사자봉릿지는 1980년 전남대학교 의대산악회에서 개척 릿지로 바람골(바람폭포)에서 사자봉 정상으로 이어지는 주변 경관이 뛰어난 암릉. 들머리 월출산 초입 천황사에서 구름다리코스와 바람폭포코스로 갈라지는데 바람폭포쪽인 바람골로 오른다. 바람골을 20여분 올라 바람폭포 바로 40-50미터 직전에서 좌측 사면에 보이는 능선으로, 길에서 보이는 좌측의 바위를 왼쪽으로 약간 돌아 오르면 릿지의 시작부분에 도착한다. 이 코스는 중간 중간에 침니, 크랙, 페이스 등이 혼합되어 있어 아기자기하며 길지 않다. 전체적으로 어려운 부분은 없으나 .. 2022. 9. 14.
홍도10경(한국민이 꼭 가봐야 할 국내관광지 100선 중 1위 2013. 3. 10 홍도10경 남문바위(1경) 제1경 남문은 홍도의 남쪽에 위치한 바위섬에 구멍이 뚫려 소형선박이 내왕할 수 있는 석굴석문으로 홍도의 관문입니다. 이 굴 문을 지나간 사람은 일 년 내내 더위를 먹지 않으며 재앙을 없애고 소원이 성취되며 행운을 얻게 된답니다. 또한, 고기배가 이 석문을 지나가면 많은 고기를 잡을 수 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 남문을 행운의 문 또는 만복을 내리는 해탈의 문이라고 말한답니다. 실금리궁(2경) 홍도 10경중 제②경으로 옛날 유배해온 선비가 속세를 떠나 아름다운 선경을 찾던 중 망망대해가 바라보이고 주변에는 기화요초가 만발하여 풍우를 피할 수 있는 넓은 동굴을 찾아냈는데 그는 여기서 일생동안 가야금을 타고 여생을 즐겼습니다. 그리하여, 이를 가야금굴이.. 2022.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