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토/국내여행

장성 백암산 백양사

by 무궁화9719 2022. 9. 14.

2013. 6. 5

                                       

 

 

 

 

     

                                 

         백양사 고불매(천연기념물)

 

 

주소/문의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신성리 | 약도보기 | 061) 392-7288교통정보: 백양사역에서 백양사방면 버스 탑승 후 백양사정류소 하차              (60분 소요)  더보기산악정보: 상세정보 | 날씨안내Daum지역정보 주변 음식점 | 주변 숙박

         백암산바로가기 www.koreasanha.net/infor/best_fall_13.htm

 

         백양사바로가기 http://baekyangsa.kr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다. 632년(백제 무왕 33) 여환(如幻)이 창건하여 백암산백양사라고 했으며, 1034년(덕종 3) 중연(中延)이 중창하면서 정토사(淨土寺)라고 개명했다.

 

1350년(충정왕 2) 각진국사(覺眞國師)가 3창하고, 1574년(선조 7) 환양(喚羊)이 현재의 백양사라고 개칭했는데 이것은 환양의 〈법화경〉 독성소리에 백학봉에 있는 흰 양떼가 자주 몰려온 것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한다.

 

1786년(정조 10) 환성(喚星)이, 1864년(고종 1)에는 도암(道巖)이 중건했다. 근세 이후에는 송만암(宋曼庵)에 의해 교세와 사운이 융성했다. 일제강점기에는 31본산 중의 하나였으며 현재는 26개의 말사를 관장하고 있다.

 

현존 당우로는 대웅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3호)·극락보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2호)·사천왕문(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명부전·칠성각·진영각(眞影閣)·보선각·설선당(說禪堂)·선실(禪室)·요사채·범종각 등이 있다.

 

이밖에 백양사 재흥에 힘쓴 태능(太能)의 소요대사부도(逍遙大師浮屠: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6호)와 고려 때 각진국사가 심은 것으로 전해지는 절 주위의 비자나무는 천연기념물 제153호로 지정되어 있다. )·

 

'포토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순 고인돌공원(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0) 2022.09.14
장성 내장산 내장사 단풍  (0) 2022.09.14
함평 나비축제  (0) 2022.09.14
화순 운주사  (0) 2022.09.14
화순 쌍봉사(우리지역문화재)  (0) 2022.09.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