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 생으로 VS 익혀서… 몸에 더 좋은 건?
이채리 기자입력 2024. 3. 7. 23:00수정 2024. 3. 8. 09:39

채소를 익히면 안에 들어있는 각종 영양소가 파괴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편견이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채소를 익히면 안에 들어있는 각종 영양소가 파괴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가열하면 비타민C를 비롯한 몇몇 영양소가 손실되는 것은 맞다. 그러나 완전히 푹 삶아서 익히는 정도가 아니라면 그 정도는 미미하다. 모든 채소가 날것으로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익혀 먹으면 영양적 가치가 더 올라가는 채소들이 있다.
◇지용성은 끓이고 수용성은 생으로
주로 지용성 영양소를 많이 함유하는 채소들이 가열해서 먹어야 하는 종류다. 베타카로틴·라이코펜 등 지용성 영양소는 가열해도 파괴가 잘 안 된다. 가열을 통해 지용성 영양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반면, 수용성 영양소가 많은 채소는 가열에 주의해야 한다. 비타민C나 폴리페놀 같은 수용성 영양소는 열에 매우 약한 편이기 때문이다. 항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글루코시놀레이트 역시 수용성으로 열에 약하다.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콜리플라워나 브로콜리에 많다.
◇가열하면 좋은 채소=당근·호박·마늘·콩·토마토·가지·시금치·미나리
가열해 먹으면 좋은 대표 채소에는 당근, 호박, 마늘, 콩 등이 있다. 당근을 생으로 먹으면 당근 속 영양소인 베타카로틴이 약 10% 흡수된다. 그러나 끓여 먹으면 흡수량은 60% 이상으로 높아진다. 당근은 날것이나 찐 것보다 끓였을 때 카로티노이드(베타카로틴을 포함한 식물 색소)가 더 많아졌다는 이탈리아의 연구 결과가 있다. 호박 역시 베타카로틴이 풍부해, 끓여 먹는 게 좋다. 마늘은 끓였을 때 발암물질 억제 성분인 'S-알리시스테인'이 더 많아진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연구에 따르면, 마늘을 60분간 물에 끓이면 생마늘에 비해 4배가량 많은 S-알리시스테인이 생성된다. 콩은 삶으면 단백질 함량이 6~7% 늘어난다(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
토마토는 끓여 먹거나 볶아먹으면 좋다. 미국 코넬대 연구에 따르면 토마토를 88도에서 30분간 가열하면 항산화 영양소 라이코펜이 35% 증가한다. 라이코펜은 기름에 잘 녹으므로, 기름에 볶거나 끓일 때 기름을 약간 사용해야 도움이 된다. 가지는 구워 먹는 게 좋다. 구우면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영양밀도가 높아져,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을 더욱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안토시아닌은 열에 강해서 구워도 파괴되지 않는다.
시금치·미나리는 베타카로틴이 많아 열을 가하면 좋지만, 비타민C도 풍부해 살짝 데치는 게 낫다. 끓는 물에 30초가량 데치면 열에 의해 세포벽이 파괴되면서 베타카로틴 성분이 더 잘 빠져나온다.
◇생으로 먹어야 좋은 채소=콜리플라워·양배추·브로콜리·무·여주·상추·케일·부추
콜리플라워·양배추·브로콜리는 비타민C·글루코시놀레이트 등 열에 약한 영양소가 풍부해 생으로 먹는 게 좋다. 식이섬유가 많아 식감이 아삭거리며, 생으로도 편하게 먹을 수 있다. 통으로 먹는 게 싫다면 얇게 썰어 샐러드로 먹거나, 피클로 먹어도 된다.
국물 요리에 많이 사용하는 무는 푹 끓이면 영양소가 거의 없어진다. 무의 주요 성분인 다이스타아제는 소화를 돕는 효소지만, 50도만 돼도 효능이 떨어질 정도로 열에 약하기 때문이다. 무 껍질에는 항산화 성분이 많다. 특히 껍질을 벗기고 끓여먹으면 영양소 손실이 더욱 커진다. 식초를 희석한 물로 겉을 깨끗이 닦은 후 껍질째 바로 먹거나 부담스럽다면 살짝만 가열해 먹는 게 좋다.
여주는 특유의 쓴맛 때문에 데치는 경우가 많다. 여주는 데치면 비타민B·C가 절반 이상 파괴된다. 쓴맛이 싫으면 소금에 절여 먹거나, 차라리 볶아 먹는 게 영양적 효능이 더 크다.
상추, 케일처럼 진녹색을 띠는 채소에는 비타민B의 일종인 엽산이 많이 들었다. 엽산은 가열하면 쉽게 파괴되므로, 쌈이나 샐러드로 먹는 게 좋다. 부추에는 혈관 건강에 도움을 주는 황화알릴이 풍부하다. 황화알릴은 70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파괴되므로, 부추는 날것으로 먹는 게 좋다.
건강에 으뜸인 '채소', 사실 구워 먹어야 몸에 최고로 좋습니다
2025. 4. 2. 8:27
채소는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매일 400g의 채소와 과일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피클이나 오이지 같은 절인 채소로 채소 섭취를 대신하는 것은 좋지 않다.
절인 채소는 식도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절인 채소를 많이 먹으면 식도암 위험이 두 배로 증가할 수 있다. 세계 암 연구 기금도 염장 보존 식품의 과다 섭취가 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고 경고하고 있다. 또한, 절인 채소의 산성 성분은 치아 건강에도 해로울 수 있다.

채소는 생으로 먹거나 살짝 익혀 먹는 것이 좋다. 양배추, 브로콜리, 무, 부추 등은 생으로 먹는 것이 권장된다. 양배추와 브로콜리의 비타민C와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열에 약하다. 무의 다이스타아제는 소화를 돕지만, 50도 이상에서는 효능이 감소한다. 부추의 황화알릴은 70도 이상에서 파괴될 수 있다.
반면 당근, 호박, 마늘, 토마토는 익혀 먹는 것이 좋다. 당근의 베타카로틴은 익혔을 때 흡수율이 60% 이상으로 증가한다. 마늘은 끓는 물에 익히면 S-알리시스테인이 증가해 발암 물질 억제에 도움이 된다. 토마토는 익히면 라이코펜이 증가해 항산화 효과가 높아진다.
영양소의 흡수와 손상을 고려할 때, 채소를 살짝 익히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시금치와 미나리는 베타카로틴과 비타민C가 풍부하므로 가볍게 데치는 것이 좋다. 끓는 물에 30초 정도 데치면 영양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영양소 많지만… 생으로 먹으면 손해인 채소 6가지
최지우 기자입력 2023. 11. 12. 12:30

채소는 조리 방법에 따라 체내 영양흡수율이 달라진다. 열을 가해 익혀 먹거나 데쳐 먹으면 생으로 먹을 때보다 영양 효과가 높아지는 채소가 있다. 무엇일까?
◇당근
당근은 지용성 영양소인 베타카로틴이 풍부해, 익혀 먹으면 영양흡수율이 극대화된다. 베타카로틴은 체내에서 비타민A로 전환돼 시력 보호, 피부 건강 개선, 면역력 증진 등 효과가 있다. 생으로 먹을 때는 체내에 10% 흡수되지만 삶거나 데쳐 먹으면 20~30%, 기름에 볶아 먹으면 60% 이상 흡수된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에 의하면, 당근을 기름에 튀기면 베타카로틴 함량이 생 당근보다 약 3.9배 증가했다. 이외에 기름에 당근을 볶거나 당근을 구워 먹는 것도 생 당근보다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았다.
◇시금치
시금치는 끓는 물에 30~60초간 데치면 항산화 성분인 베타카로틴이 증가한다. 시금치는 100g당 베타카로틴이 2876ug 들어있다. 한국식품영양과학지에 게재된 연구에 의하면, 시금치를 데치면 베타카로틴이 100g 증가했고, 22종의 채소 중 시금치의 베타카로틴 함량이 가장 높았다.
◇호박
호박은 지용성인 비타민A, 비타민E가 풍부해 기름에 익혀 먹어야 체내 흡수가 가장 잘 된다. 호박을 기름에 볶거나 끓는 물에 데치면 열에 의해 세포벽이 파괴되면서 베타카로틴 성분이 더 잘 빠져나온다.
◇마늘
마늘은 끓는 물에 한 시간 삶아 먹으면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마늘 속 S-알릴 시스테인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강력한 항산화 성분으로, 항암 효과가 높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연구팀 실험 결과, 마늘을 끓는 물에 한 시간 동안 삶으면 S-알릴 시스테인 함량이 네 배 더 높아졌다.
◇토마토
토마토는 암, 심혈관질환 등 예방에 효과적인 라이코펜이 풍부하다. 라이코펜은 가열해야 그 효능을 제대로 누릴 수 있다. 토마토를 섭씨 87도의 온도에서 각각 2분, 15분, 30분간 익히자 라이코펜 함량이 6%, 17%, 35% 증가했다는 미국 코넬대 연구 결과가 있다. 라이코펜은 지용성 영양소기 때문에 기름을 둘러 가열해 먹으면 더 좋다.
◇가지
가지는 수분 함량이 높고 안토시아닌, 클로로겐산 등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노화 방지, 항암 효과가 있다. 가지는 기름 흡수율이 높고 고온에서 가열해도 영양 손실이 적어 기름에 살짝 익혀 먹는 게 좋다. 생가지를 각각 9분, 12분간 찌자 클로로겐산 함량이 점차 증가했다는 상명대 연구 결과가 있다.
'음식으로 찾는 건강상식(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마토, 건강에 좋은 줄은 알았지만"…놀라운 연구 결과 (0) | 2023.11.21 |
---|---|
하루 '이 견과류' 한 주먹, 위암 유발 헬리코박터균 억제 도움 (0) | 2023.11.09 |
[읽어볼것] 잡곡+채소 자주 먹었더니, 뼈·근육·혈관에 변화가? (0) | 2023.07.29 |
무 자주 먹었더니, 체중·노폐물에 변화가? (0) | 2023.06.19 |
간식 끊어야 한다? ‘이 나이’ 이상은 오히려 먹어야 (0) | 2023.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