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24 북 입장 발표 "관련설 날조" 북한이 4월17일 군사논평원을 통해 천안함 침몰의 북한관련성이 날조됐다고 공식 입장을 발표 북한 "상어급 잠수정? 소총으로 포탄 쏘는 격" 북 국방위 반박회견 "가스터빈실 왜 공개 못하나" 조현호 기자 | chh@mediatoday.co.kr 입력 : 2010-05-30 00:05:34 천안함이 북한 어뢰의 공격으로 침몰됐다는 민군 합동조사단의 발표에 대해 북한이 조사내용을 하나하나 반박하고 나섰다. 특히 북한은 합조단이 추정한 연어급 잠수정은 북한군이 보유하지 않고 있고, '1번'이라는 글자와 관련해 북에서는 체육선수에게만 '번'을 붙이며, 어뢰 수출국에 책자를 보낸 일도 없다고 밝혔다. 사고원인과 관련해 북한은 천안함의 가스터빈실을 왜 공개하지 않고 있느냐며 강한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조선중앙TV.. 2022. 9. 16. 재미과학자 "천안함 어뢰피격확률 0.0000001% 2022. 9. 16. 첫날, 합조단은 '합숙'과 '외출금지'를 요구했다 두라3호 시신 대부분 화상, 천안함 시신은 깨끗 조현호 기자 | chh@mediatoday.co.kr 입력 : 2012. 01.16 인천 앞바다를 운항하던 유류 화물선이 원인미상의 내부폭발로 두동강 난 참사와 관련해 폭발로 인한 선체와 시신의 상태가 비접촉 수중폭발로 두동강 났던 천안함의 선체 및 시신과 크게 다르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지난 15일 아침 8시5분께 폭발사고를 당한 두라 3호에서 폭발이 일어난 탱크 쪽 에서 폭발이 일어난 탱크 쪽 구조물이 남아있지 않을 정도였고, 선체가 좌우로 크게 벌어져 있다. 일부 구조물은 선수쪽과 조타실 쪽으로 감겨올라가는 등 전반적으로 흉물스런 상태가 됐다. 폭발 주변 구조물은 완전히 시커먼 그을음으로 가득찼고, 조타실 유리창도 깨져있었다. 사고원인에 대해 인천 해.. 2022. 9. 15. 유가족 "22전대장이 '천안함 좌초했다'고 말했다" 2022. 9. 15. 도올 "천안함 침몰 조사 발표 구역질…패잔병들이 당당" 도올 "천안함 침몰 조사 발표 구역질…패잔병들이 당당" 2010. 5. 23. 19:26 도올 "천안함 침몰 조사 발표 구역질…패잔병들이 당당" 봉은사 특별 강연…"이명박의 세상, 허위로 돌아가고 있다" 프레시안 도올 김용옥 박사가 이명박 정권을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모든 사안을 일방적인 몰아붙이기식으로 진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거짓말도 끊임없이 반복하고 있다는 것. 특히 그는 정부의 천안함 침몰 원인 조사 발표를 두고 "0.0001퍼센트도 설득이 되지 않는다"며 "세상이 허위로 돌아가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용옥 박사는 23일 서울 삼성동 봉은사에서 '코뿔소 외뿔처럼 홀로 가거라 : 동서회통의 깨달음'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진행했다. 이날 특강은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해 봉은사 주지 명진 .. 2022. 5. 20. 천안함과 이스라엘 잠수함이 한·미 연합 대잠수함 훈련 중에 좌초됐다 천안함과 이스라엘 잠수함이 한·미 연합 대잠수함 훈련 중에 11.08.09 07:34 ▼ 찰스 윌리엄스 미 해군준장이 지난 2010년 4월 3일 언론들과 인터뷰에서 "천안함 사건이 한국과 미국의 훈련중 벌어진 일"이라고 밝힌 장면. 사진=다큐 천안함 갈무리 미 7함대사령부 사이트에 따르면 제15 구축함전대장이다. 준장으로 독수리 훈련에 참가한 미국 구축함들의 전대장이다. 리처드 랜돌프 소장이 4월 2일 일본 사세보 해군기지에서 하퍼스 페리함을 타고 백령도에 오기 전까지 미국 군함들의 사령관 역할을 했다. The U.S. naval forces were initially under the command of Commodore Charles F. Williams, of the U.S. Seventh Flee.. 2021. 9. 8. 정체 드러내는 '1번 어뢰' 배후 2021. 8. 18. 러시아 "1번 어뢰, 천안함 침몰과 관계없다" 러시아 "1번 어뢰, 천안함 침몰과 관계없다" 입력 2010. 7. 9. 10:49수정 2010. 7. 9. 10:49 MBC·한겨레 보도 "러 조사단, 합조단 결론 인정 어렵다" 파문 [미디어오늘 조현호·최훈길 기자]천안함이 북한 어뢰의 공격으로 침몰했다는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에 대해 러시아 조사단이 북한 소행의 결정적인 증거로 제시했던 '1번어뢰'의 부식 정도로 볼 때 이 어뢰가 천안함을 침몰시킨 것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결론을 내고, 이를 한국및 미국, 중국 정부 등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와 MBC 등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7일까지 한국에 공식 조사단을 파견했던 러시아는 독자적인 성분 분석 등을 통해 '1번어뢰'의 페인트와 부식 정도 등과 관련해 '물속에 있던 기.. 2021. 8. 13. KBS "폭발 아닌 4가지 이유 있다" KBS "폭발 아닌 4가지 이유 있다" "화상환자·부유물 등 없어…'암초충돌' 가능성 다시 제기 조현호 기자 | chh@mediatoday.co.kr 입력 : 2010. 03.30 국방부가 천안함 침몰 원인이 내부폭발은 아니며 기뢰·어뢰 등에 의한 외부 폭발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하는 것과 달리 KBS 등이 암초 충돌 가능성을 이틀째 제기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른 방송사들도 수집한 갖가지 정황을 제시하며 외부 폭발설에 의문을 제기했다. KBS는 30일 17번째 리포트 '폭발설 4가지 의문'에서 군 당국의 외부 폭발로 인한 침몰론에 대해 집중적으로 의혹을 제기했다. KBS는 △화상 환자가 없고 △대량 부유물이 없으며 △화약 냄새도 없을 뿐 아니라 △함장 증언은 '폭발'이 아닌 '충돌'이었다고 점을 제시했.. 2021. 8. 1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