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30일 이명박 백령도 전격 방문
3월30일은 이명박 전대통령이 백령도로 급히 날아간 날이며,
미국무성이 공식적으로 '북한의 관련성은 없다'고 발표한 날입니다.
![]() |
심지어 그로부터 일주일 뒤인 4월6일 원세훈 당시 국가정보원장은
국회에 출석하여 "천안함 북한 관련성 단정어렵다"라고 말합니다.
![]() |
대형구조물인 물체가 물 속에 가라앉아 있는 이유는
침수될만큼 손상을 입었기 때문이고 그 중 연돌처럼 생긴 부위가 어떤 이유든
박살이 난 정황을 떠올릴 수 있는 것이지요.
(3) 1번 생명줄 잡고 들어갔다가 나왔다
이헌규씨는 한 준위의 요구대로 '연돌처럼 생긴 곳'은 가지 않았고,
1번 생명줄을 타고 들어가서 둥그런 해치를 만나게 됩니다.
이헌규씨가 해치를 열고 그 안으로 들어가며 본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증언합니다.
예비역 UDT 동지회원 이헌규씨의 증언
|
6. '연돌'은 '연돌처럼 생긴 구조물' 즉 잠수함의 '코닝타워'
이헌규씨가 본 대형구조물은 과연 무엇일까요? 잠수함입니다.
좌초로 기동력을 상실하고 표류하던 천안함과 충돌하여 천안함을 반파시키고
자신도 연돌처럼 생긴 코닝타워가 박살이 나 가라앉은 문제의 잠수함입니다.
천안함 사고 발생 후,
첫 이틀동안 천안함 함수.함미는 내팽겨 둔 채
모든 전력이 동원되어 매달렸던 작업현장이 바로 저 '대형구조물' - 잠수함입니다.
저 잠수함의 국적이 미국인지 이스라엘인지 확실치는 않습니다만,
이스라엘 국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저의 분석입니다.
여러 정황이 있습니다만,
그 중 하나는 천안함 사고 후 작전에서 사라졌다가 2년만에 수리를 마치고 복귀한
유일한 잠수함이 바로 이스라엘 돌핀급 잠수함이라는 점입니다.
![]() |
디젤운항이지만 핵미사일을 탑재한 그 잠수함 역시 운항중 불의의 사고를 당한 만큼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습니다. 시신수습과 주요물자 인양 그리고 수중에서 비밀리에 선체를 끌고 나가기 위해 미7함대는 무척 바쁘게 움직였으며, 한주호 준위를 비롯 우리 군 역시 그 작업에 숨가쁘게 참여하였습니다.
그것이 한 주호 준위가 사망하자 한국에서 미 대통령을 대표하는 크리스틴 주한미국대사와 한미연합사령관이 즉각 백령도로 날아왔던 이유이며, 한 준위 장례식 때 미군사령관이 조문하고 금일봉을 전달한 이유입니다.
그리고 한국 관공서와는 달리 미국대사관에만 조기가 걸려있었던 이유 역시 잠수함에서 희생당한 대원들을 추모하기 위함이었던 것입니다.
캄캄한 밤, 좌초로 기동력을 상실한 천안함이 인근을 항해중이던 잠수함과 충돌하여 둘 다 침몰한 일련의 교통사고 - 그것이 천안함 침몰사고의 진실입니다.
한국과 미국이 그 사실들을 비밀에 붙여야만 했던 이유가 무엇인지는 모르겠으나, 애꿎은 이웃 잠수함을 끌어들여 '어뢰 한 방으로 폭침하고 도주했다'는 시나리오는 그 황당함도 상상초월 수준이지만, 그 보다 더 큰 것이 '우리 해군의 자존심을 깡통수준으로 묵사발 만든 것'이라고 저는 생각하는데 우리 해군은 아무 생각없어 보여 참으로 이해불가입니다.
반드시 천안함의 진실을 온 세상에 밝혀내겠습니다.
그래서 유사이래 적군에게 단 한 번도 패배한 적이 없는 우리 해군의 자존심을, 거짓과 조작 그리고 왜곡과 은폐로 깔아뭉개 버린 '한 줌도 안되는 정치군인'들의 씻지못할 죄악을 온 세상에 펼쳐내어 반드시 법의 심판대 위에 서도록 만들 것입니다.
( KBS 9시 뉴스 - 한주호 준위 다른 곳에서 숨졌다 )
( 동영상 - https://youtu.be/eOtaHsM6erk )
KBS는 <"다른 곳에서 숨졌다"> 제하의 단독 보도를 통해 "한 준위가 당초 군 당국이 발표한 곳과 다른 제3의 지점에서 숨졌다는 증언이 새롭게 나왔다"며 군 당국은 한 준위가 함수 부분에서 수색작업을 하다 의식을 잃었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 고 한주호 준위는 이곳 함수가 아닌 다른 곳에서 수색작업을 하다 의식을 잃었다는 증언이 나왔다"고 보도했습니다.
KBS 황현택, 최영윤, 이병도 세 기자는ㅜ한 준위는 백령도와 대청도 사이의 함수로부터 1.8Km, 함미로부터 6Km 떨어진 곳인 함수도 함미도 아닌 제3의 부표에서 숨진 것으로 보인다”며 함수로부터 북서쪽 해상, 용트림 바위 바로 앞 빨간색 부표가 설치된 곳을 지목합니다.
하루도 안되 보도가 사라집니다.
그리고 사고후 몇칠후에 이스라엘 수상이 극비 방한..
한마디로 북한이 천안함을 어뢰로 침몰시킨것이 아닌,
이스라엘 핵잠수함과 충돌하여 침몰
한준위는 천안함 장병구조하다 숨진게 아닌,
제 3의 부표에서 핵잠수함에 타고잇던 미군 장병 구조하다 숨진것
5.24 조치 단행- 남북경협 중단-
#5.24조치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천안함이 침몰했고 해군장병 46명이 희생되었다. 천안함 침몰이 북한 소행(덮어씌우고)이라고, 2010년 5월 24일, 대한민국 정부(당시 이명박 정부)는 대북 제재 조치를 발표했는데, 이를 5.24조치라고 부른다.

출처: https://boriborikim.tistory.com/603 [보리킴]
'천안함 침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S "폭발 아닌 4가지 이유 있다" (0) | 2021.08.11 |
---|---|
[고승우 칼럼]미국의 오래된 '윽박' 한때는 중국에도… 진실은 한번도 가려지지 않았다 (0) | 2021.08.08 |
바다의 무법자 죠스, 천안함 침몰사건(2006~2010년) (0) | 2021.07.26 |
함수 '발견' 해 놓고 멀똥멀똥 (0) | 2021.07.25 |
[천안함 침몰 이후] “배에 물 들어와 3번 수리했다는데”… 함장은 부인” (0) | 2021.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