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1)

인공발목관절은 무엇인가요?

by 무궁화9719 2024. 12. 21.

인공발목관절은 무엇인가요?

인공발목관절이란 퇴행성 관절염 또는 외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발목 통증이 심하여 걷기가 어려워졌을 때에 발목관절을 대체하기 위한 인공관절입니다.
 
기존의 수술 방법인 발목유합술과 비교하여 관절운동을 보존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과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인공발목관절의 수명은 평균 15~20년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나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수술시간 및 입원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수술시간

보통 1시간~ 1시간 30분 소요

마취준비 및 수술회복시간까지 포함하면 약 3시간 소요

관절염 정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입원기간

평균 7~10일

 

 퇴원 후 언제 다시 병원에 방문해야 하나요?

수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이후 매년 한 번씩 정기적으로 방문해야 합니다.

이유: 인공관절의 수명은 평균 15~20년 정도이며 영구적이라 할 수 없으므로 정기적인 외래 관찰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방차원으로 x-ray 판독과 함께 전문 의료인에게 정기검진을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수술 후 관리 및 재활은 어떻게 하나요?

퇴원 후 상처관리

 

Q 수술부위 실밥은 언제쯤 제거하나요?

수술 후 10~14일경 제거 가능합니다

 

Q 실밥 제거 후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손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시고 오염된 손으로 상처 부위를 만지지 마세요

상처 회복을 돕는 연고크림을 상처부위에 매일 1~2회정도 발라주세요

 

Q 수술부위 상처가 치유되는데 얼마나 걸립니까?

수술 후 약 2~3주 걸립니다. 단, 개인의 건강 및 피부 상태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습니다.

 

Q 수술부위 상처에 생기는 딱지 및 가려움증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딱지는 일부러 벗기시지마세요 새살이 차오르면서 저절로 떨어질 것입니다.

  상처부위에서 느끼는 가려움증은 정상입니다.

 

Q 사워는 언제쯤 가능한가요?

퇴원 후 가벼운 사워는 가능합니다. 비누 사용없이 흐르는 미지근한 물로만 가볍게 씻어 주세요

단, 딱지가 떨어져 세살이 완전히 차 오르기 전까지 상처부위에 직접적으로 사워기는 대지마세요.

 

Q 수술부위 부종 및 통증은 어떻게 완화 시키나요?

깨어있을 때 얼음주머니를 사용하여 매 시간마다 2분정도 얼음찜질하세요

  단, 20분 이상은 피하시고 수술부위에 얼음이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높은 베개를 사용하여 수술부위가 심장보다 높게 하여 휴식을 취하세요

필요시 의사 처방 하에 약물치료 하세요.

 

Q 수술부위에 아래와 같은 증상 발생 시 빠른 시일 내 병원에 오셔서 검사하세요!

수술 부위가 벌어졌을 경우

수술부위가 빨갛게 되거나 심한 열감이 있을 경우

갑작스럽게 부술부위에서 통증이 심해져 호전되지 않을경우

 

퇴원 후 재활

수술 후 4주까지

부목 고정 및 체중 싣지 않기(헬체어/목발 생활)

발목 위아래 움직임만 가능

 

수술 후 4주부터 12주까지

부목제거 후 보조기 착용으로 바꾸기

양쪽 목발 사용하며 보조기 착용 상태로 부분 체중부하 가능

발목 위아래 움직임 및 가벼운 물리치료 가능

 

수술 후 12주 이후

필요시 보조기 착용 및 목발 사용하기

점차적으로 체중부하 늘리면서 일상생활 가능

발목 돌리기, 족욕, 크림마사지, 물리치료 지속적으로 하기

 

※ 수술 전 발목관절 변형의 심한 정도 및 추가 수술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인공발목관절 수술 후 침술 및 주사 시술을 하면

  감염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절대로 하시면 안 됩니다.

 

세계・미국 족부족관절학회 최다 구연 발표

이상철 기자 | 기사입력 2014/10/24 [09:59]
 
 
이근배 전남대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이 최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세계족부족관절학회 및 미국정형외과 족부족관절학회에서 최다 논문 구연 발표를 했다.

이 교수팀은 이번 학회에서 채택된 총 81편의 구연발표 논문 중 총 5편이 선정돼 단일 기관으로서는 최다논문 발표의 쾌거를 달성했다.

이번 학회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는 총 18편의 논문이 채택됐으며 그 중 한국의 논문은 11편 선정됐는데 이중 이 교수팀의 논문이 5편을 차지한 것이다.

이같은 성과는 전남대병원 족부족관절 클리닉이 세계적인 수준임을 입증함과 동시에 전남대병원의 높은 학문적 위상을 세계 의료계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

특히 이 교수팀은 지난해 ‘중족골 단축증에 대한 골연장술의 치료방법’과 '인공 족관절 치환술 후 합병증으로서의 이소성 골화증'에 대한 연구가 높은 평가를 받아 정형외과 세계 최고의 교과서로 인정받는 ‘캠벨’에 수록되는 쾌거를 이룬바 있다.

한편 세계족부족관절학회는 3년마다 한번씩 5개 대륙을 순회하며 개최되는 가장 대표적인 국제학술대회이며 미국 족부족관절학회는 세계최대규모의 학술대회로 올해 두 학술대회가 공동으로 열리게 됐다.
 
 

전남대병원 이근배 교수 논문, 세계적 정형외과 교과서에 수록

노해섭 입력 2013. 01. 25. 08:57 수정 2013. 01. 25. 08:57

[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

"족부족관절 분야, ' 캠벨' 텍스트북 2013년 최신판에 대거 수록"

 

전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이근배 교수가 발표한 족부족관절 분야 연구논문이 세계적 정형외과학 교과서라 불리는' 캠벨' 텍스트북 2013년 최신판(원제 : Campbell's operative orthopaedics) 에 대거 수록되는 쾌거를 이뤘다.

 

'캠벨' 텍스트북은 세계적으로 정형외과학 교과서로 가장 널리 인정받고 있는 책으로서, 대한정형외과 전문의 자격시험의 공식 필독서로도 지정돼 있다.

 

'캠벨' 텍스트북에 실린 이 교수의 논문은 족부족관절 질환에서 새로 알려진 '중족골 단축증'의 치료법과 족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하나인 '이소성 골화증 (ectopic ossification)'에 대한 부분으로 상세히 인용되었다.

 

종종 유명 저널에 실린 논문이 '캠벨' 텍스트북과 같은 교과서에 간략히 인용되는 경우는 있으나 이처럼 새로운 질환 치료법에 대한 대부분의 내용을 그대로 옮긴 것은 매우 드문 경우이다.

 

 

이 같은 성과는 전남대병원 족부족관절 센터의 치료 및 연구수준이 세계적 수준임을 보여줌과 동시에 국내 의학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교수 연구팀이 미국과 유럽 등에 비해 훨씬 늦게 출발한 국내 족부족관절 분야에서 최근 5년간 국제의학학술지(SCI, 과학논문색인인용지수)에 50편 이상의 논문 발표와 국제학술대회에서 활발한 논문발표 등 지속적인 연구 활동을 펼친 점이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최신판에 소개된 내용은'중족골 단축증'에 대한'골 연장술'의 치료방법에 대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증례를 토대로 한 수술방법 및 치료결과와 합병증 등을 보고하였다는 점과 '이소성 골화증 (ectopic ossification)' 의 임상결과에 미치는 영향 및 분류 체계를 세계 최초로 제시하였다는 점 등이 높이 평가받은 것으로 그 의의가 크다.

 

이 연구들은 이미 정형외과 임상분야 최고 잡지인 '골관절 수술저널(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미국판)'에 발표되어 주목 받았던 내용들이다.

 

전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61469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42

정형외과병동 (062)220-6730  외래 (062)220-6348

전화예약센터 1899-0000 (진료예약 및 변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