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토/국내여행

속리산 법주사

by 무궁화9719 2022. 10. 12.

2007. 10. 27

   

 

 

 

                                                     법주사의 부처 

 

                                           마애여래의상 

 

                                                법주사 팔상전(法住寺 捌相殿, 국보 제55호)

                                    ↑ 【대전=뉴시스】박희송 기자 = 26일 문화재청은 보은군과 수리공사를 위해

                                              법주사 팔상전(法住寺 捌相殿, 국보 제55호)의 해체했다고 밝혔다.

                                  법주사 팔상전 수리 전 모습. 2013.09.26. (사진=문화재청 제공) photo@newsis.com

 

 

                                                            국보5호 - 법주사 쌍사자석등 

신라 석등 중 뛰어난 작품의 하나로 그 저성년대는 성덕왕 19년으로 추정된다.

이석등은 조각 수법과 넓은 지대석 옥개석등의 비례에서 장중한 품격이 넘친다.

특히 일반적인 신라 석등이 간주로 8각 기둥을 사용한데 비해 두마리의 사자로

이를 대신함으로써 특이한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획기적인 시도는 후대에도

영향을 미쳐 이를 모방한 작품이 나타났다.

 

                                             국보 64호 - 법주사석연지

법주사 천왕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이 석연지(石蓮池)가 보인다.

돌로 만든 작은 연못으로, 물을 담아두며 연꽃을 띄워 두었다고 한다.

불교에서의 연꽃은 극락세계를 뜻하여 사찰 곳곳에서 이를 본뜬 여러 형상들을 만날 수 있다.

연지는 8각의 받침돌 위에 버섯 모양의 구름무늬를 새긴 사잇돌을 끼워서 큼지막한 몸돌을 떠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몸돌은 커다란 돌의 내부를 깎아 만들었는데, 반쯤 피어난 연꽃 모양을 하고 있어 그 쓰임과 잘 어울리며, 외부의 곡선과도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표면에는 밑으로 작은 연꽃잎을 돌려 소박하게 장식하였고, 윗부분에는 큼지막한 연꽃잎을 두 겹으로 돌린 후 그 안으로 화사한 꽃무늬를 새겨두었다. 입구 가장자리에는 낮은 기둥을 세워 둥글게 난간을 이루었는데, 그 위로도 짧은 기둥을 새긴 후 난간 모양이 되도록 조각해 놓아 마치 난간이 두 줄로 된 듯하다. 윗난간에 세워진 기둥은 아주 기발한 착상이라 할 수 있는데, 불국사 다보탑에 새겨진 돌난간의 기둥과도 비슷하여 예스러움을 간직하고 있다. 밑의 난간벽에는 여러가지 무늬를 새겨 놓아 화려함을 한층 더 살려준다.

                                             

                                             보물 제15호 - 법주사 사천왕석등 [法住寺四天王石燈] 

 

                              천연기념물 제 103호 정이품 소나무.

 

          속리산으로 들어가는 길 가운데에서 만나는 천연기념물 제 103호 정이품 소나무.

          법주사 소유로 수령은 6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고한다.

 

          정이품의 유래는 조선조 세조가 속리산 법주사로 행차할때

          타고있던 가마가 소나무 아랫가지에 걸릴까 염려하여 연걸린다고 말하자

          소나무 스스로 가지를 번쩍 들어올려 어가를 무사히 통과하게 했다하여

          그런 연유로 세조는 정 이품 벼슬을 내렸다고한다.

 

          오래되어 외형적 지지대를 받쳐 놓은 모습이 역사를 더할나위 없이 말해주는듯 했다. 

 

 

 

 

속리산 단풍 - 한국의 산하

단풍 산행시기 및 법주사, 세심정 단풍코스, 대중교통, 도로 안내.

www.koreasanha.net/infor/best_fall_17.htm  

국내산> 충청북도> 속리산

 

'포토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도편)충북 단양팔경  (0) 2022.10.12
천안 독립기념관  (0) 2022.10.12
▶(제주도편) 제주도  (0) 2022.09.30
한라산 겨울풍경  (0) 2022.09.30
한라산의 가을  (0) 2022.09.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