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위산업.과학(누리호)

누리호가 쏴올린 카이스트·서울대 큐브위성, 지상에 응답했다

by 무궁화9719 2022. 6. 22.

누리호가 쏴올린 카이스트·서울대 큐브위성, 지상에 응답했다

등록 :2022-07-04 10:34수정 :2022-07-04 10:55

이근영 기자

누리호 사출 대학 큐브위성들, 양방향 교신 성공
5일 마지막 연세대 큐브위성 사출 예정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이 지난 3일 오후 4시24분께 서울대 큐브위성을 사출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누리호가 사출한 대학 큐브위성들이 잇따라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4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궤도에 올려놓은 성능검증위성에서 사출한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과 서울대 큐브위성이 양방향 교신에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서울대 큐브위성(SNUGLITE-II)은 지난 3일 오후 4시24분께 성능검증위성에서 사출됐으며, 서울대 연구팀은 사출 12시간 만인 4일 오전 3시21분께 큐브위성에 명령 신호를 보내 위성이 반응했음을 확인했다.
서울대 연구팀이 개발한 큐브위성. 서울대 제공
 
연구팀은 “큐브위성에 안테나 전개 명령을 송신했으며 위성이 이에 반응해 안테나 전개부가 펼쳐지는 등의 상태정보가 대학 지상국에 수신돼 양방향 교신에 성공한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양방향 교신 이후 9번의 상태정보를 수신해 전원(8.3볼트), 각속도(0.2deg/s), 자체개발 우주용 위성위치정보시스템(GPS) 수신기(시각동기화 완료) 등 위성의 상태가 정상 범위인 것을 확인했다.
 
이에 앞서 지난 1일 사출된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큐브위성(RANDEV)도 3일 오후 4시10분께 시도한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고 과기정통부는 밝혔다.
 
카이스트 연구팀은 3일 오전 2시께와 오후 2시40분께 두 차례에 걸쳐 큐브위성에 전력공급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는 명령어와 시스템을 대기모드에서 안테나전개 모드로 바꾸는 명령어를 보냈다. 연구팀은 3일 오후 4시10분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상국에서 보낸 명령대로 큐브위성이 정상적으로 임무를 수행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누리호’ 카이스트 큐브위성도 사출 성공…“양방향 교신 시도”

등록 :2022-07-03 11:07수정 :2022-07-03 13:15

이근영 기자

카이스트 ‘랑데브’ 1일 사출 뒤 2일 정보 수신
명령전송 뒤 받은 정보로 양방향 교신 확인중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연구팀이 개발한 큐브위성 ‘랑데브’.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에서 지난 1일 우주공간으로 사출됐다. 카이스트 제공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성능검증위성이 지난 1일 두 번째 큐브위성을 성공적으로 사출하고, 2일 큐브위성으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3일 “누리호의 성능검증위성이 지난 1일 오후 4시38분께 두 번째 큐브위성인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의 ‘랑데브’를 사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카이스트 연구팀은 지난 2일 새벽 3시42분께 카이스트 지상국에서 상태정보를 10여 차례 수신했다”고 밝혔다. 카이스트 큐브위성은 지난달 29일 사출된 조선대 큐브위성에 이어 두 번째로 사출됐다.
 
랑데브(RANDEV) 큐브위성은 가로 10㎝, 세로 10㎝, 높이 30㎝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무게는 3.2㎏인 초소형 인공위성이다.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이 두번째 큐브위성인 카이스트 ‘랑데브’의 사출 영상을 보내왔다. 사진은 영상 갈무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카이스트 연구팀은 “랑데브가 보낸 상태정보를 분석한 결과 태양전지판과 안테나가 정상적으로 펼쳐지고, 안테나 온도(7.2도), 배터리(7.97볼트) 등 각종 서브시스템의 전압과 온도가 모두 정상범위인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2일 오후 3시35분과 오후 5시13분께 전송한 큐브위성 자세제어를 위한 각속도 감쇠모드 명령에 대한 반응은 3일 오전 현재 분석 중으로 조선대 큐브위성과 마찬가지로 양방향 교신에는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카이스트 연구팀은 “위성의 상태가 안정화되면 큐브위성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놓은 이미지를 다운받는 명령을 보내 양방향 교신을 시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