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토/국내여행

무등산 설경

by 무궁화9719 2022. 9. 14.

2013. 11. 20

 

 

 

 

 

 

 

 

 

 

 

 

 

 

 

 

 

 

 

 

 

무등산_눈꽃속의 서석대_문수근

 

무등산_아름다운 입석대_서재희

 

 

 

 

 

 

 

                              

 

 

 

 

 

 

 

 

 

 

 

 

 

무등산 [無等山]

높이 : 1187m
위치 : 광주광역시 동구

 

특징, 볼거리

무등산은 전체적인 산세는 산줄기와 골짜기가 뚜렷하지 않고 마치 커다란 둔덕과 같은 홑산이다. 무등산의 특징은 너덜지대인데 천왕봉 남쪽의 지공너덜과 증심사 동쪽의 덕산너덜은 다른 산에서는 볼 수 없는 경관이다. 무등산은 완만한 산세로 대부분이 흙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태만상의 암석들이 정상인 천왕봉을 중심으로 널려 있어 그 웅장함으로 인하여 도민의 신앙대상이 되어온 신산으로 알려 졌다. 특히 서석대, 입석대, 규봉의 암석미는 대단하다.

무등산의 삼대 절경인 입석대, 서석대, 광석대를 일컬어 무등산 삼대석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봄의 철쭉, 여름의 산목련, 가을의 단풍과 겨울의 설경등 변화가 많은 자연경관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 3월 4일 국립공원 제21호로 지정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은 전체면적 75.425㎢로 광주광역시(북구, 동구)와 전라남도(담양·화순군)에 위치하고 있다.

무등산에는 증심사, 원효사, 약사암, 규봉암 등의 사찰과 산의 북쪽 기슭인 충효동에 환벽당과 식영정, 소쇄원 누정 등의 유적이 있다.

 

인기명산 [41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무등산은 광주, 전남 도시민의 휴식처이자 사계절 산행지이다. 10-11월의 억새와 단풍 테마산행으로 많이 찾고, 이른 봄 봄맞이 산행지로 인기 있다.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최고봉인 천왕봉 가까이에는 원기둥 모양의 절리(節理)가 발달하여 기암괴석의 경치가 뛰어나고, 도시민의 휴식처이며, 도립공원으로 지정(1972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보물 제131호인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이 있는 증심사(證心寺)와 원효사(元曉寺)가 유명하다

 

산행 코스

무등산장-꼬막재-규봉암-장불재-중머리재-백운암터-늦재샘터-공원관리사무소(5시간 30분)

무등산장-꼬막재-시무지기폭포-규봉암-지공너덜-석불암-장불재-중봉-동화사터-늦재-산장주차장

증심교-토끼등-동화사터-중봉-장불재-백마능선-장불재-중머리재-증심사

증심교-증심사-약사사-새인봉-줌어리재-장불대-입석대-규봉암-장불재-입석대-서석대-증심교

증심사 제2주차장-증심교 삼거리-토끼등(15:14)- 동화사터-중봉-서석대-입석대-장불재-중머리재 -새인봉 삼거리-새인봉-증심사 제2주차장(6시간)

공원주차장-토끼등-봉황대-중머리재-중봉-서석대-입석대-장불재-용추삼거리- 중봉-용추삼거리-중머리재 -새인봉-공원주차장(6시간 30분)

영신삼거리-규봉암-장불재서석대-장불재-안양산-둔병재(4시간 30분)

안양산 자연휴양림-안양산-장불재- 중머리재 - 증심사시설지구(5시간)

 

산행 길잡이

산행기점은 중심사 집단시설지구와 원효사 집단시설지구로 다양한 코스를 잡을 수 있다. 안양산에서 백마능선을 거쳐 무등산으로 오르는 코스는 교통이 불편하지만 단체산행의 경우 가을 억새산행과 봄의 안양산 철쭉산행으로 좋다.

증심사 코스

증심사 집단시설지구(제1수원지 앞) 출발지점은 광주시 운림동에 위치한다. 이곳 등산코스들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자기 능력에 맞는 코스를 택하여 산행할 수 있다. 이 출발지점은 광주도심에서 불과 4km이내의 거리로 가장 접근이 용이한 곳이기에 마치 무등산의 관문처럼 인식되어 있다.

등산객이 쉽게 즐겨찾는 이곳은 교통이 편리하고, 가까우면서 다양한 코스가 있어 남녀 노소 뿐만 아니라 가족단위 등산도 많다. 특히 요즈음에는 외지 등산객이 차츰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향락철에는 무등산 등산 인구의 3분의 2이상이 이곳으로 몰려들어 주말이나 휴일에는 이 코스 진입에 어려움이 있다. 더구나 진입로에 예식장등이 있어 교통난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외지서 오는 단체 등산객들은 무등산공원관리사무소와 사전에 연락한 다음, 정보를 얻으면 산행하는데 도움이 된다.

산행가이드 : 산행기점이자, 종점인 증심사 집단시설지구(제1수원지앞)까지 시내버스편은 511번, 172번, 137번, 311번, 631번, 771번, 185번이 도청앞에서 3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소요시간은 10분정도(택시이용시 약 2천 5백원 정도)

 

1코스

증심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제1수원지, 관리소)(0.7㎞)→증심교 삼거리(0.5㎞)→삼애산 장삼거리 좌측행(춘설원)(0.1㎞)→증심사(0.5㎞)→당산나무(송풍정)(1.1㎞)→대피소(추모비)(0.5㎞)→중머리재(0.8㎞)→용추 삼거리(0.7㎞)→장불재(KBS,한국통신중계소)(0.4㎞)→입석대(0.5㎞)→서석대(0.5㎞)→입석대(0.4㎞)→장불재(1.7㎞)→규봉암(광석대,석불암)(2.1㎞)→신선대 삼거리(1.0㎞)→꼬막재(1.0㎞)→오성원(3.3㎞)→원효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 (총길이 약15.8㎞, 소요시간 5시간 30분정도, 무등산 종주 순환일주코스, 상급자 적합)

무등산 종주 순환일주코스는 일반적으로 전문산악인들이 선호하는 편이다. 그러나 이 코스는 중간에 코스가 다양하기 때문에 자기 산행능력이나 취향에 맞는 코스를 택해서 산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2코스(2시간 30분)

증심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0.7㎞)→증심교삼거리(0.5㎞)→삼애산장 삼거리(춘설원)(0.5㎞)→약사사(0.3㎞)→새인봉 삼거리 좌측행(1.0㎞)→608고지(0.3㎞)→중머리재(0.4㎞)→백운암터(0.8㎞)→봉황대(0.6㎞)→토끼등(덕산너덜겅샘터)(1.8㎞)→증심교 삼거리 우측행(0.7㎞)→증심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 (총길이 약7.8㎞, 소요시간 2시간 30분정도, 중급자에게 적합한 코스)

이 코스는 무등산 산행을 자주하는 등산객들이 주로 택하는 코스이다. 산행중 잠깐 약사사에 들러 목을 추기고 시작하면 608고지까지의 조금 힘든 산행을 보다 쉽게 오를 수 있다.

 

원효사 코스

원효사 집단시설지구(무등산장) 출발점은 광주시 금곡동에 위치한다. 해발 500m에서 등산을 시작할수 있는 이곳은 경관이 아름답고 수려하여 등산뿐만 아니라 관광객들도 많이 찾는 곳이다. 교통편도 좋아 증심사쪽 코스 다음으로 많은 등산객이 찾고 있다. 특히 원효계곡을 끼고 그 주변에 16C 조선조 정자문화 유적이 산재되어 있어, 관광객이 많이 들르는 코스이며 등산하는 사람들에게는 무등산에서 가장 좋은 산행의 맛을 만끽할 수 있는 코스이기도 하다.

산행가이드 : 산행기점이자, 종점인 원효사집단시설지구까지 시내버스편은 435번, 467번이며 산수동 5거리에서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소요시간은 20분 정도.

1코스(5시간 30분)

원효사 집단시설지구(무등산장) 주차장(3.3㎞)→오성원(1.0㎞)→꼬막재(1.0㎞)→신선대삼거리(2.1㎞)→규봉암(광석대.석불암)(1.7㎞)→장불재(0.4㎞)→입석대(0.5㎞)→서석대(0.5㎞)→입석대(0.5㎞)→장불재(0.5㎞)→군통제소(3.8㎞)→늦재(군사도로)(1.2㎞)→원효사집단시설지구 주차장 (총길이 약16.5㎞, 소요시간 5시간 30분정도, 무등산 일주순환코스, 상급자 적합)

제1코스는 무등산 일주순환등산코스로 환상적이다.. 특히 봄 가을 철쭉과 억새, 그리고 겨울설화는 환상적이다. 그리고 빼어난 규봉의 광석대를 비롯한 입석대, 서석대는 무등 아니고는 볼수 없는 암석미를 보여준다.

 

2코스(3시간 20분)

원효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1.2㎞)→늦재(1.6㎞)→동화사터(1.4㎞)→중봉(MBC,KBC송신소)(0.5㎞)→용추삼거리(0.8㎞)→중머리재(0.4㎞)→백운암터(0.8㎞)→봉황대(무명의혼비)(0.6㎞)→토끼등(0.8㎞)→바람재(0.9㎞)→늦재(1.2㎞)→원효사 집단시설지구 주차장 (총길이 약10.2㎞, 소요시간 3시간 20분정도, 중급자에 적합)

제2코스는 광주시가지를 바라보면서 산행하는 코스로 각 코스를 응용하여 다양하게 산행할 수 있다. 중봉쪽에서는 패러글라이딩과 행글라이더를 배우고 즐기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3코스 (5시간)

안양산 자연휴양림-안양산-백마능선-장불재- 중머리재 - 증심사시설지구(5시간)

이 코스는 안양산, 백마능선, 장불재, 중봉의 억새를 즐길 수 있는 억새산행 코스이다. 봄에는 안양산의 철쭉도 볼 만하다. 등산로의 시야가 탁트여 무등산 전체의 조망이 시야에 들어온다.

 

대중 교통

광주로가서 시내버스 이용

증심사방면

시내버스편은 511번, 172번, 137번, 311번, 631번, 771번, 185번이 도청앞에서 3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소요시간은 10분정도(택시이용시 약 2천 5백원 정도)

 

원효사방면

시내버스편은 435번, 467번이며 산수동 5거리에서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소요시간은 20분 정도.

도로 안내

증심사 : 광주시내 - 화순방면 남문로 - 전남대병원 - 1.2km - 증심사진입로(좌회전) - 4km - 주차장

원효사 : 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 - 고속도로 벗어나 우회전 - 2.2km - 사거리에서 좌회전 - 1.8.km - 산수동5거리에서 좌회전 - 신양파크와 지산유원지 입구 - 잣고개 - 청암교 - 충장사 - 원효사지구 주차장(퍼온글)

 

 

 

 

        무등산

        
주소/문의전남 화순군 화순읍, 이서면, 광주광역시 동구, 북구 약도보기 | 061) 370-1227
교통정보화순시외터미널에서 화순행 버스 탑승 후 화순읍 수만리하차 (1일 3회 운행)  더보기산악정보상세정보 | 날씨안내Daum지역정보주변 음식점 | 주변 숙박

 

무등산 구름 비경

 

"무등산(無等山·해발 1187m),

 

 

 

 

무등산 21번째 국립공원 됐다…24년만의 신규지정

[연합]입력 2012.12.27 12:06 / 수정 2012.12.27 12:11

면적 75㎢…동식물 2천296종 생태공간 단절 보완
북한산 다음으로 탐방객 많아…주상절리 세계유산 등재 추진

광주의 명산 무등산이 우리나라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국립공원 신규 지정은 1988년 변산반도ㆍ월출산 이후 24년 만이다.

환경부는 27일 국립공원위원회를 열어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안을 심의해 확정했다고 밝혔다.

공원 면적은 ▲광주 북구 26.865㎢ ▲동구 20.789㎢ ▲전남 화순군 15.802㎢ ▲담양군 11.969㎢ 등 모두 75.425㎢다. 이는 현재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30.230㎢의 2.5배 규모다.
 
광주호 일대와 소쇄원을 비롯한 가사문화권 지역은 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반대로 제외됐다.

무등산의 자연자원 가치는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기에 충분하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무등산에는 수달ㆍ구렁이ㆍ삵ㆍ독수리를 비롯한 멸종위기종 8종과 원앙ㆍ두견이ㆍ새매ㆍ황조롱이 등 천연기념물 8종이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등산에 서식하는 동식물은 모두 2천296종으로 사적형인 경주국립공원을 제외한 육상 국립공원 16곳 가운데 13번째로 많다.

주상절리대ㆍ산봉ㆍ계곡ㆍ괴석 등 경관자원도 61곳이 있다. 특히 서석대와 입석대 등 주상절리대는 높이가 20∼30m, 폭 40∼120m에 달해 남한 최대규모로 꼽힌다.

보물 제131호인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 지정문화재 17점도 보유하고 있다.

도심과 가까운 이점도 있어 2010년 한 해 679만 명이 이용했다. 국립공원 가운데 탐방객 수가 가장 많은 북한산(2010년 851만명) 다음으로 많다.

환경부는 이번 국립공원 지정으로 현재 공원 면적이 협소하고 산 정상부에 경계가 설정돼 있어 생태계의 연결성이 부족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환경부는 멸종위기종 서식지역의 생태계를 정밀 조사하고 훼손된 탐방로를 정비하는 한편 정상부 경관도 복원할 계획이다.

주상절리대를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는 방안을 지원하고 생태관광 인프라와 국립공원 명품마을을 조성해 지역경제에 파급효과를 끌어낼 방침이다.

무등산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됨에 따라 관리인력이 2배가량 늘어나고 필요한 예산을 전액 국가에서 지원받는다.

환경부는 주민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관리를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전체 면적의 74.4%에 달하는 사유지를 단계적으로 매입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광주와 화순, 담양이 무등산을 중심으로 생태, 문화 공동체를 이루게 된 점이 성과"라며 "내년 3월 지자체와 합동으로 무등산국립공원 비전을 선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포토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성 녹차밭.차밭 빛 축제  (0) 2022.09.14
곡성 세계장미축제(5월21~6월6일까지)  (0) 2022.09.14
순천세계정원박람회  (0) 2022.09.14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0) 2022.09.14
순천 낙안읍성  (0) 2022.09.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