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실적에도 울상인 수출…'효자' 반도체·철강도 흔들
- CBS노컷뉴스 김수영 기자 메일보내기
- 2023-01-01 14:5
눈덩이 된 에너지 수입으로 무역적자 사상 최대
하반기 마이너스 품목 늘어…새해 수출전선 더 험난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눈덩이처럼 불어난 에너지 수입 탓에 무역적자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5대 수출 품목 중 7개 품목의 연간 수출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서면서 새해 수출 전선은 더욱 험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수출, 지난해 하반기부터 감소세 본격화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수출액은 1292억3천만달러로 전년 대비 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연간 수출액은 역대 최대를 기록했지만, 월 수출액은 하반기부터 감소세가 본격화했다. 8월부터 5개월 연속 수출이 감소하면서 29.0%의 성장률을 기록했던 재작년보다 증가폭이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11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9.9% 감소했던 반도체 수출은 12월에도 29.1% 줄었다. 이는 K-반도체의 대표 제품인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가격 하락세가 지속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D램 고정가는 5~6월 3.35달러에서 10~12월 2.21달러까지 떨어진 상태다.
재작년에 50% 넘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던 석유화학 제품도 지난해 수출액이 1.5% 줄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최대 시장인 중국의 자급률이 상승하고, 대규모 설비 증설로 공급 과잉 현상이 지속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철강(384억6천만달러)도 하반기 들어 수출 증가율이 두 자릿수에서 한 자릿수로 쪼그라들더니 결국 9월부터는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재작년에 36.9% 성장했던 철강 제품의 연간 수출액은 지난해 5.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외에 △디스플레이(-1.1%) △선박(-20.8%) △무선통신기기(-10.4%) 등도 연간 수출 증가율이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에너지 가격 급등 영향…대중 무역적자도 이어져
일부 수출 품목이 선전하긴 했지만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7312억달러까지 늘어난 연간 수입액을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원유·가스·석탄 수입은 전년 대비 784억달러 늘어난 1908억달러에 달했다. 이에 따라 무역적자 규모는 사상 최대인 472억달러를 기록했다.대중 무역수지 역시 5~8월 적자를 이어가다 9월에 흑자로 돌아선 뒤 10월부터 다시 3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대중 수출은 1558억1천만달러로 4.4% 감소했고, 수입은 1545억6천만달러로 11.5% 늘었다. 산업부는 4월 이후 중국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핵심 수출 품목인 반도체 가격이 하반기 이후 하락해 수출 실적을 끌어내렸다고 설명했다.
산업부 이창양 장관은 "올해는 주요국 경제 성장세가 약화하며 우리 수출에 더 어려운 여건이 조성될 것"이라며 "수출 플러스 달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

연말까지 지속된 적자세…무역적자 500억 달러 눈앞
- CBS노컷뉴스 이준규 기자 메일보내기
- 2022-12-21 11:1
관세청 2022년 12월 1~20일 수출입 현황
반도체 수출 감소세·에너지 수입 증가세 지속에 수출 8.8%↓· 수입 1.9%↑
연간 누적 적자 489억6800만 달러로 역대 최대치 경신

8개월째 지속 중인 무역수지 적자세가 연말까지 이어지고 있다.
반면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 늘어난 400억6400만 달러를 기록, 무역수지는 62억2700만 달러 적자로 적자 폭이 늘어났다.
연간 누적 수출액은 6625억9500만 달러, 수입액은 7115억6300만 달러를 각각 기록하면서 누적 무역적자가 489억6800만 달러까지 늘어나 500억 달러를 눈앞에 두게 됐다.
연간 누적 무역적자 489억6800만 달러는 역대 최대치로, 이같은 수출입 추세가 연말까지 지속될 경우 사상 최대 규모의 무역적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수출 품목별로는 승용차와 석유제품이 전년 동기 대비 45.2%, 27.1% 증가했지만,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24.3%로 감소세를 지속한데 이어 철강과 무선통신기기, 정밀기기 등도 17.4%, 43.8%, 11.2%가 각각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과 유럽연합 수출은 각각 16.1%, 1.2% 증가했지만, 중국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6.5% 감소했고, 베트남 -20.6%, 일본 -12.2%, 대만 -22.0% 등 다른 주요국 수출은 감소세를 보였다.
수입은 원유와 가스가 각각 15.4%, 100.7%가 늘어나는 등 에너지 분야는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지만, 반도체와 석유제품, 무선통신기기에서는 각각 14.9% 22.5%, 44.8%가 줄어들었다.
국가별로는 유럽연합과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18.7%, 17.3% 증가했지만 중국 -11.6%, 일본 -16.4%, 사우디아라비아 -27.7%, 베트남 -9.6% 등 나머지 국가에서는 수입이 감소했다.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 대통령, 한 달 새 청와대 14번 이용… '용산시대' 딜레마 커진다 (0) | 2023.01.05 |
---|---|
장성철 “보수 패널 공정성 요청 공문은 블랙리스트…법적 조치하겠다” (0) | 2023.01.04 |
원희룡 "집값은 국가가 어쩔 수 없어" 발 빼 (0) | 2023.01.03 |
"국가는 소멸해도..." 이게 대통령이 할 말인가 (0) | 2023.01.03 |
[이태원 국정조사] 자료제출 부실·기간 연장 진통…이태원 국조 파행 (0) | 2022.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