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도
2012. 4. 19.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에 속한 섬.
완도 남동쪽 해안에서 남동쪽으로 약 19.7㎞ 지점에 있다. 주위에는 장도·지초도·항도 등의 부속섬과 대모도·소모도·여서도 등이 있다. 산과 물이 모두 푸르다 하여 청산도라고 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서남해안 바닷길의 요충지로, 임진왜란 당시에는 이 일대가 전란에 휩싸여 거주하는 사람이 없다가 효종 때 다시 입도(入島)했다. 1866년(고종 3) 당락리에 청산포진이 설치되었고 1895년 진이 폐지되고, 1896년 완도군이 신설되면서 이에 속하게 되었다.
최고봉인 매봉산(385m) 이외에 대봉산(379m)·보적산(330m) 등 300m 내외의 산이 사방에 솟아 있다. 이들 산지에서 발원해 사방으로 흐르는 소하천 연안을 따라 좁은 평야가 발달했으며, 중앙부와 서부 일부지역에는 비교적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동쪽 해안 만입부에 간석지가 있을 뿐 대부분 암석해안을 이루며 해안선이 복잡하다. 특히 남부 해안에 해식애의 발달이 탁월하다. 기후는 비교적 온화하고 비가 많다. 주민은 농업과 어업을 겸하나 농업에 더 많이 종사한다. 농산물로 쌀·보리·참깨·콩·마늘·고구마·감자 등이 생산된다. 연근해에서는 삼치·갈치·고등어·멸치·문어 등이 잡히며, 김·미역·다시마·톳 등이 양식된다. 취락은 중앙부와 서부 평야지대에 주로 분포하는데, 중심지는 서부의 도청리이며 이곳에 도청항이 있다. 청산도-완도 간 정기여객선이 운항한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어 자연경관이 수려한 관광명소로 꼽힌다. 유적으로는 당락리에 1800년대에 축조한 당리성터와 당리마을 사당이 남아 있으며, 사당에서는 매년 음력 1월 3일에 당제를 올린다. 그밖에 읍리에 읍리성터와 남방식 고인돌, 부흥리에 백련암이 있다. 면적 33.28㎢, 해안선 길이 42.0㎞, 인구 2,892, 가구 1,374(2004).
완도 여객선터미널에서 청산면 도청리 부두까지이며, 청산도에 도착하여 배에서 내리면, 버스와 택시가 대기하고 있습니다. 청산도의 택시는 거리간 요금이 정해져 있는 정액제입니다. 청산도 마을버스는 여객선 시간표에 맞춰 청산도의 관문인 도청리 부둣가에서 섬 끝마을(신흥리)까지 왕복 운행합니다. 2010년 3월부터 청산도 주요관광지를 순회하는 관광순환버스가 운행중입니다. (예약문의 (061) 555-3545

나비야 청산가자 ♬
나비야 청산가자 벌나비 너도가자
가다가 날저물면 꽃잎에 쉬어가자
꽃잎이 푸대접을 하거들랑
나무밑에 쉬어가자
나무도 푸대접하면 풀잎에서 쉬어가자
나비야 청산가자 나하고 청산가자
가다가 해저물면 고목에 쉬어가자
고목이 싫다하고 뿌리치면
달과별을 병풍삼고
풀잎을 자리삼아 찬이슬에 자고가자
'포토 > 내솜씨(폰사진.디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창 청보리밭 (0) | 2022.09.18 |
---|---|
외규장각 의궤(국립광주박물관 기획전시실) (0) | 2022.09.18 |
작은집 오빠와 제주에서... (0) | 2022.09.18 |
[제주]한림수목원.천지연폭포 등... (0) | 2022.09.18 |
제18회 세계김치문화축제 (0) | 2022.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