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

왜 쏘았니? 54년 전 미 대학에서 벌어진 공권력 학살극

by 무궁화9719 2024. 5. 31.

왜 쏘았니? 54년 전 미 대학에서 벌어진 공권력 학살극

김평호 미국 톺아보기mindle@mindlenews.com다른 기사 보기
 

54년 후 이제는 가자전쟁 유탄인가

김평호 저술가·전 단국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오하이오주 켄트. 인구 2만 7000명. 그곳에 자리한 주립 켄트 대학교. 학생 수 1만 8000명. 비극적 역사의 현장이라기에 켄트는 작은 대학도시다.

 

켄트, 2024년 5월

 

지난 4일, 켄트 대학교는 5·4학살—켄트학살이라고도 부르는—54주년 추모식을 가졌다. 학살을 계기로 만들어진 학교의 ‘분쟁·평화학부(School of Conflict and Peace Studies)’는 추모행사의 하나로 전남대학교와 함께 ‘광주항쟁을 기억하며(Remembering the Gwangju Uprising)’라는 제목의 학술 모임도 열었다.

 

5·4학살이란 1970년 5월 4일, 교내에 진주한 시위 진압군의 발포로, 네 명의 학생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한 대형 사건을 지칭한다.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당시, 미국 전역에서는 대학생 중심의 반전·평화 운동이 끈질기게 이어졌고, 이 와중에 몇몇 대학에 질서유지를 명분으로 주 방위군이 배치됐던 것이다.

 

특히 이스라엘의 가자 살육전쟁을 규탄하는 반전·평화 운동이 대학가를 휩쓸고 있는 올해의 추모식은 더욱 각별할 수밖에 없다. 당시 피격으로 허리 아래가 마비되는 중상을 입은 D. 칼러는 ‘승리의 종(Victory Bell)’—1970년 5·4 시위의 시작을 알린 종—을 울렸고(왼쪽 사진), 학생들은 5·4의 비극을 되새기며 팔레스타인 연대 시위와 농성 집회를 열었다.(오른쪽 사진). 칼러는 “역사를 잊는 자, 역사를 반복한다”면서 “그때나 지금이나, 정의와 불의의 문제, 권력 남용의 문제가 여전히 우리 사회를 옭아매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팔레스타인 연대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한 학생은 “우리가 벌이는 반전·평화 운동이 올바른 역사를 만들어 낼 것”이라는 희망을 피력했다.

 

이제 시계를 54년 전으로 돌려보자.

 

켄트, 1970년 5월

 

1970년 4월 30일, 닉슨 대통령은 베트남 전쟁을 캄보디아로까지 확대했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비밀리에 공습을 벌였고, 이미 지상군도 투입했다는 것이었다. 베트남 전쟁의 베트남화, 평화협상 추진을 내건 68년 선거공약의 배신이었다. 발표 바로 다음 날, 각지의 대학에서 대규모 집회와 시위가 벌어졌다. 프린스턴 등 몇몇 대학에서 전국적 수업거부 운동을 제안했다. 제안은 금세 결의로 이어졌다. 학생들은 ‘투쟁으로 승리를! 5월 4일, 수업거부!’ 구호를 내걸었다.

 

5·4 동맹 수업거부 포스터
 

켄트에서도 시위가 이어졌다. 1일의 시위가 끝나고 늦은 밤, 시내에서 경찰과 학생들 간에 충돌이 벌어졌다. 시내 여러 군데에서 횃불이 피어올랐고, 도심 상점 몇 곳의 유리창이 깨지는 등 상황이 심각해졌다. 시장은 ’비상사태(state of emergency)’를 선포하고 켄트뿐 아니라 주변 지역 경찰까지 소집했다. 최루탄을 쏘면서 강제해산에 나선 경찰에 밀려 학생들은 학교로 돌아갔다.

 

다음날 시장 주재의 대책회의가 열렸다. 회의장에서는 온갖 흉흉한 소문들이 오갔다. ‘학생들이 무기를 들었다’ ‘수돗물에 마약을 풀 것이다’ ‘반전 구호를 내걸지 않는 상점은 불태운다고 한다’ ‘도심을 폭파하려고 학생들이 땅굴을 파고 있다’ 등등등. 회의 끝에 시장은 주지사에게 군대 파견을 요청했고 지사는 이를 즉각 수용했다. 학생들의 집회와 시위는 계속됐고, 저녁에는 학군단 건물에서 원인불명의 화재가 발생했다. 밤 10시, 1천 명 규모의 오하이오 방위군(National Guard)이 대학으로 진입했다. 학생과 교직원과 군인과 경찰과 소방대가 엉킨 학교는 혼란의 현장이었다.

 

일요일인 3일, 주지사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지사는 학생들을 ‘나치 당원, 공산주의자, KKK, 우익 민병대보다 더 사악한 패거리’라고 비난했다. ‘전문 군사혁명 조직’이라고도 불렀다. 그날 저녁, 학생들은 연좌 농성을 벌이면서 총장과 시장 면담을 요구했다. 군인들은 통행금지령이 발동됐다며 학생들을 밀어냈다. 격렬한 몸싸움과 최루탄과 돌이 난무했다. 다음 날은 동맹 수업 거부의 날이었다.

 

군 발포로 대학생 4명 사망, 부상자 9명

 

학교 당국은 4일 집회가 취소됐다는 유인물을 뿌렸다. 그러나 12시쯤 3천 명 정도가 이미 교정에 모여들었다. 소수의 고등학생들도, 휴학 중인 학생들도, 일반 시민들도 포함돼 있었다. 시위 시작을 알리는 ‘승리의 종’이 울렸다. 학생들은 ‘캄보디아 확전 반대, 징병제 철폐, 학내 진입 군대 철수’ 등의 구호를 외치며 캠퍼스 곳곳에서 행진을 이어갔다. 군은 불법집회이니 즉시 해산하라는 명령을 내리는 한편, 최루탄을 쏘면서 학생들을 쫓았다. 지휘관은 부하들에게 실탄 장전을 명령했다. 군인들은 진압 자세로 전진하면서 시위대를 캠퍼스 한쪽으로 밀어냈다(사진 참조).

 

그 와중에 일부 군인들이 울타리가 쳐진 축구장에 갇힌 모양새가 됐다. 학생들의 함성과 돌이 날아들었다. 군인들이 뒤로 물러서기 시작했고 일부는 조준사격 자세를 취하기도 했다. 직후, 30명 정도의 군인들이 돌아서더니 시위대를 향해 갑자기 총을 난사하기 시작했다. 12시 반 경이었다. 조사에 따르면 13초 동안 60발이 넘는 총알이 발사됐다. 상당수는 공중이나 땅을 향해 쏘았지만, 일부는 시위대를 직접 겨냥해 발포했다. 3명의 대학생이 그 자리에서 사망했고 4번째 학생은 이송 직후 병원에서 숨을 거두었다. 부상자는 9명이었다.

 

조준사격 자세를 취하는 군인들. 그 앞에서 깃발을 흔들던 이 학생도 총상을 입었다.
 

왜 쏘았니?

 

사건 직후 학생들은 그 자리에서 연좌농성을 벌였다. 왜 총을 쏘았는지 밝히라고 요구했다. 군인들은 되레 해산하지 않으면 다시 발포하겠다고 협박했다. ‘더 큰 살상이 벌어질 것’이라는 교수들의 간곡한 설득으로 학생들은 해산했다. 그날 학교는 즉시 6주 간의 휴교에 들어갔다.

 

5·4 비극의 핵심은 군인들의 발포다. 발포 4년이 지나 당시 진압군 중 일부가 형사재판에 넘겨졌다. 그들은, ‘발포는 시위대의 위협을 느낀 정당방위’라고 주장했다. 발포 명령에 대해서는, ‘설령 있었다고 해도 주변의 소음으로 들을 수 있는 정황이 아니었다’라는 식으로 넘어갔다. 닉슨 대통령의 지시로 구성됐던 진상조사위원회는 9월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발포 명령은 없었다’라고 기록했다.

 

진실은 여전히 아무도 모른다. 총격 상황이 녹음된 자료 테이프에 발포와 관련한 정황이 일부 들어있지만, 확실성 여부를 두고 음성분석 전문가와 수사기관의 해석은 엇갈린다. 사망 학생의 유족, 부상자와 가족, 그리고 켄트 학생들은 군 지휘관의 발포명령이 있었다고 확신한다. 이들은 지금도 오하이오주와 연방정부에 학살의 재조사를 요구하고 있다. 발포군인을 처벌하자는 것이 아니라 진실을 밝히자는 것이다.

 

왜 이런 비극이 벌어졌을까? 닉슨은 1968년, 베트남 전쟁 종식과 징병제 철폐 등을 공약으로 대통령에 당선됐다. 60년대 내내 미국 사회를 괴롭혔던 전쟁을 마무리하겠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전쟁은 계속됐고, 징병제도 재학생에 한해 70년 1학기까지만 징집을 유예한다는 임시 조치에 그쳤다. 그러더니 이젠 미군이 베트남을 넘어 캄보디아로 쳐들어간다는 것이다. 반전·평화를 염원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그 운동의 맨 앞에 서 있던 대학생들에게, 그것은 공약 파기 정도가 아니라 대형 사기극이었다.

 

베트남전쟁의 국내판 켄트학살, 54년 후 이제는 가자전쟁 유탄인가

 

당시 학생 사진기자였던 J. 필로는 어렵사리 학살 현장을 담았다. AP는 이를 전 세계로 타전했다. 미국 사회는 경악했다. 사진은 70년대 미국이 벌인 베트남 전쟁이 저 먼 이방의 일이 아니라 지금 여기의 일임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동시에 체제에 저항하는 운동을 철저하게 눌러버리는 권력의 잔혹함을 생생하게 입증했다. 온몸으로 슬픔을 울부짖는 사진 속의 어린 여성을 누군가는 ‘켄트의 피에타’라고 불렀다.

 

전국의 대학가에 노도와 같은 분노가 몰아쳤다. 4백만에 이르는 학생들이 수업거부에 동참했고, 450여 개 대학이 휴교에 들어갔다. 5월 10일에는 워싱턴 DC에서 10만이 참여, 켄트학살 책임자 처벌 및 전쟁 중단을 촉구했다. 그럼에도 공권력의 폭력은 멈추지 않았다. 8일에는 뉴멕시코 대학에서 진압군이 대검으로 찌르며 시위대를 밀어내는가 하면, 15일에는 미시시피주 잭슨대학에서 2명의 학생이 이번에는 경찰의 총격으로 사망했다.

 

닉슨의 연설비서관은 ‘이건 내전’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은 신변안전을 위해 이틀간이나 백악관을 떠나야 했고, 정부청사 경비를 위해 82 공수부대를 동원했다. 물론 닉슨은 반전·평화 운동에 미동도 하지 않았다. 시위대를 ‘공산주의 불량배’라는 식으로 모욕했다. “폭력을 휘두르면 참혹한 일이 벌어지게 마련”이라며 학생들의 죽음을 폄훼했다. 그뿐 아니라 반전운동 지도부를 감청하라는 불법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 “미국이 이럴 수는 없어. 이건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아니야. 미국은 지금 자기 자신과 전쟁을 벌이고 있는 거야.” 닉슨의 변호사는 훗날 당시 참담했던 자신의 속내를 그렇게 털어놓기도 했다.

 

켄트학살은 베트남 전쟁의 국내판 비극이다. 그 50여 년 후, 이번에는 가자전쟁의 유탄이 대학가에 쏟아지고 있다. 전쟁이 분단국가 미국을 더 깊고, 더 넓게 갈라놓는 중이다.

‘반(反)유대주의’라는 형틀로 미래세대 옥죄는 미국

김평호 미국 톺아보기mindle@mindlenews.com다른 기사 보기
 

대학가 반전농성 무력해산 '빨갱이 사냥' 비슷
참여학생 신상털기, 미온대응 학교 후원 거절도

김평호 저술가·전 단국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학교가 전쟁터 같다’

 

지난 4월 중순 이래, 팔레스타인 반전·평화, 이스라엘 보이콧 운동이 더 크고 빠르게 미국 대학가에 확산하고 있다.(관련 자료 그림 참조). 대학 당국과 경찰의 강경진압에도 전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도화선은 4월 18일 컬럼비아 대학에서 벌어진 대규모 학생 체포·연행 사태. 이후 시위와 농성 3주째 들어서는 서부 캘리포니아에서 동부 뉴욕, 남부의 텍사스와 플로리다에서 북부 미시간과 미네소타에 이르기까지, 참여대학이 급격하게 늘었다. 그리고 대학 농성은 이제 국경을 넘어 캐나다, 호주, 프랑스, 영국, 스페인, 멕시코, 터키, 튀니지, 그리고 일본까지 퍼지고 있다.

 

4월 18일부터 일주 단위로 정리한 대학가 시위 확산 양상. 4월 30일. 워싱턴포스트 자료 그림 인용.
 

여기서 주목할 것은 ‘반전 농성과 집회는 대체로 평화롭게 진행됐다. 경찰이 오기 전까지는…’이라는 대목이다. 4월 27일자 댈러스 신문이 전한 텍사스 주립대 오스틴 캠퍼스 상황이다. 하버드대 신문 크림슨 기자들의 4월 30일 농성장 취재기도 같았다. 5월 3일자 보스턴글로브 신문도 ‘경찰이 오기 전까지 농성은 평화적이었다’고 강조한 뉴햄프셔대 명예교수의 발언을 기사화했다.

 

상황이 그러함에도 대부분 대학은 농성이 시작되면 즉각 경찰투입을 요청하고, 경찰 역시 폭동진압 장비를 갖추고, 기마부대를 앞세우기도 하면서, 전투에 임하는 진압군처럼, 공격적으로 학생들을 몰아붙인다.(사진 참조). 에모리 대학에서 현장을 목격한 한 교수는 ‘마치 전쟁터 같다’라고 탄식했다. 미국의 대학과 경찰은 왜 이러는 것일까?

 

왼쪽 조지아주 에모리대학(4월 25일). 오른쪽. 텍사스 주립대 오스틴 캠퍼스(4월 24일).
 

뉴욕의 컬럼비아와 몬트리올의 맥길 간의 극명한 차이

 

4월 17일, 학생들이 천막농성을 시작하자마자 컬럼비아대 총장은 경찰력 동원을 요청했다. 캠퍼스에 진입한 경찰은 100여 명이 넘는 학생들을 체포했다. 그러자 더 많은 학생이 모였다. 학교는 29일까지 농성 중지와 농성장 철거를 요구했다. 학교의 징계가 시작됐고, 일부 학생들은 농성장을 해밀턴 홀이라는 건물로 옮겼다. 그곳은 68년 베트남 전쟁부터 85년 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 항의농성이 이어졌던, 대학 저항운동의 상징으로 알려진 건물이다. 다음날 새벽, 경찰 특수부대가 투입됐고, 농성 학생들은 쫓겨났으며, 200여 명 가까운 학생들이 체포됐다. 이후 총장은 15일로 예정된 졸업식을 포함, 교내 질서유지를 위해 17일까지 경찰의 계속 주둔을 요청했다.

 

4월 27일, 몬트리올 소재 맥길 대학에서도 학생들의 천막농성이 시작됐다. 학교 측은 경찰에 해산과 진압을 요청했다. 학생들의 반유대주의 언사와 공격적 행위가 위험하다는 이유였다. 그러자 몬트리올 경찰은 ‘아직 아무 범죄도 일어나지 않은 곳에 들어갈 이유가 없다’라며 대학의 요청을 거부했다. 기다렸다는 듯 즉각 진입한 미국 경찰과는 전혀 달랐다. 한편 5월 1일, 퀘벡 법원은 일부 학생들이 제기한 천막농성 금지처분 신청을 각하했다. 소송에 참여한 학생과 교수들은 농성 참가 학생들의 행동과 천막이 교내 불안감을 조성한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에서는 ‘사정이 긴박하다고 볼 이유가 없고, 학생들의 평화적 집회 권리를 침해할 수 없다’라고 판결한 것.

 

물론 캐나다 대학의 상황은 언제든 달라질 수 있다. 대학과 주 당국, 연방 정부 트뤼도 수상까지 나서서 캠퍼스 안전과 질서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드러나는 차이는 명백하다.

 

미국 주류사회 지배하는 친이스라엘주의라는 이데올로기

 

학생 농성에 대해 미국의 대학과 경찰은 과도하게 적대적이고 공격적이다. 지난 12월, 같은 사태로 쫓겨난 하버드, 펜실베이나 총장 사례가 교훈(?)이 됐을 수도 있고, 대학 지원 중단을 협박(?)하는 정치권에 몸을 사린 점도 있었을 것이다. 또 폭력적 대응을 의도적(?)으로 유발하고 무질서한 사태라는 점을 부각하면, 학생들에게 비난 여론이 쏠릴 것이라는 학교와 경찰의 계산도 있었음직하다.

 

그러나 좀 더 큰 틀에서 보면 이는 미국 주류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이스라엘주의(Israelism)’라 불리는 친이스라엘 이데올로기의 반영이다. 주지하다시피 미국은 친이스라엘 국가다. 공화당, 민주당 가릴 것 없이 정부와 의회는 이스라엘과 궤를 같이한다. 주류언론 역시 마찬가지이다. 대부분 미국민도 이와 다르지 않다. 이스라엘의 개별 정치인이나 정책에 대해서는 찬·반이 있고, 관계가 소원해지거나, 지지율도 출렁일 수 있지만, 친이스라엘 이데올로기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때문에 미국은 이스라엘 정부의 정책과 행태, 역사적 정통성을 문제 삼는 국내외 운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 확산을 통제한다.

 

이번 농성과 시위에서 학생들이 대학에 요구하는 핵심 사항은 이스라엘 BDS다. BDS란 Boycott, Divestment, Sanctions의 약자, 즉 이스라엘에 대한 투자 중지, 기존 투자철회, 그리고 여러 형태의 제재(예: 학교 협력관계 중단)를 의미한다. 즉, 대학의 이스라엘 관련 투자 포트폴리오를 투명하게 밝힐 것과 무기 생산을 포함, 전쟁으로 수익을 올리는 기업에 투자하지 말 것, 기존 투자를 철회할 것, 이스라엘 교육기관과의 협력을 취소 또는 중단할 것 등이다. 한마디로 이스라엘이 벌이는 ‘죽임에 대한 학교의 투자를 중단하라!(Divest from death!)’는 것이다. 이스라엘주의 입장에서 BDS는 ‘이스라엘에 대한 정치적·경제적 전쟁’(2017년 하원의장 P. 라이언)이다. 이스라엘의 국가적 정당성을 부정하는(delegitimize) 반유대주의 행위다.

 

한 외교 전문가가 지적하듯, 지금 의회와 바이든 정부가 취하는 ‘닥치고 이스라엘 지원 정책은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을 반유대주의라는 명분으로 억압할 수밖에 없고, 그것은 민주주의를 침해할 수밖에 없다. 그것을 지금 우리는 대학 캠퍼스에서 목격하고 있는 것’이다.

 

정치권과 주류매체는 이스라엘의 보호막

 

이를 정치권과 주류매체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대통령 바이든은 대학가 농성사태가 확산하자 22일, 이를 ‘반유대주의’ 행태라고 비난했다. 하원의장은 24일 컬럼비아 대학을 방문, “선동가들과 급진파들이 대학을 점령했다. 반유대주의라는 바이러스가 대학에 퍼지고 있다”라며 학생들을 비난했다. 함께 한 동료 공화당 의원은 “하마스의 지지를 받고 있다니, 여러분들 퍽 자랑스럽겠다”라며 농성 참여 학생들을 조롱하듯 비난했다. 의장은 나아가 대통령에게 군을 투입, 대학의 법과 질서를 바로잡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이라이트는 하원이 작년 12월, ‘반시온주의는 반유대주의’라는 결의안을 채택한 것, 그리고 지난 5월 1일, ‘반유대주의 금지법(Anti-semitism awareness act)’을 통과시킨 것이다. 이는 이스라엘 비판 금지법, 우리 식으로 말하면 이스라엘을 위한 국가보안법이다. 사실, 주 단위에서는 이미 이스라엘 보이콧 금지법, 반유대주의 금지법이 시행 중이다. 이제 그 금지를 연방 차원으로 올리겠다는 뜻이다. ‘의회는 표현의 자유를 제약하는 법을 만들 수 없다’라고 규정한 헌법도 이스라엘주의 앞에서는 무기력하다.

 

주류매체 역시 이런 정치권과 다르지 않다. 이들은 경찰이 오기 전까지 대학농성이 평화적이었다는 사실은 말하지 않는다.

대신 유대인에 대한 차별 발언이나 안전 문제, 외부인들의 참가나 활동 여부에 주목한다. 팔레스타인과 아랍인들에 대한 차별 발언이나 안전 문제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해당 학교 학생 이외의 사람들은 ‘외부 선동가(outside agitators)’로 규정한다. 협박이나 공격, 증오 발언에 대한 사실 검증보다 주장을 더 열심히 전달한다. 시위나 농성 참여자가 대부분 학생인데도 외부의 선동을 계속 의심한다. 뜻을 같이하는 시민이 있을 수 있다는 상식적 판단보다는 농성사태가 불순분자의 작전일 수 있다는 음모설(?)을 부각한다. 폭력 주장에 대한 진실은 주류매체가 아니라 소셜 미디어가 드러낸다.

 

이는 이미 예정된 일이기도 하다. 미국 주류매체의 이스라엘 편향성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올해 초 드러난 뉴욕타임스나 CNN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보도지침(coverage guidance)이 그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팔레스타인 기사에서 ‘학살(genocide), 인종청소(ethnic cleansing), 점령지(occupied territory)라는 용어를 피하라’는 것이 타임스의 지침이라면, ‘하마스의 대량 살상, 인질 납치 공격을 항상 강조’하고 사상자 규모를 언급할 때도, ‘이 수치는 하마스 보건부의 발표’라는 점을 반드시 곁들이라고 한 것은 CNN의 지침이다. 이런 친이스라엘 편향성은 농성사태 보도에도 그대로 이입된다. 젊은 대학생들이 기성 언론을 의회, 군과 함께 가장 불신하는 세 기관 중 하나로 인식하는 배경이다.

 

왼쪽부터, ‘이스라엘 정부 비판, 팔레스타인 연대, 반시온주의는 반유대주의가 아니다’라는 뜻의 시위 포스터들.
 

반유대주의라는 형틀

 

대학과 경찰, 정치권과 언론의 주장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너희들은 반유대주의자’라는 것이다. 한국식으로 하면 ‘너희들은 빨갱이’라고 낙인찍는 일이다.

 

4월 19일, 유대인 단체 Anti-defamation League 대표 J. 그린블랫 MSNBC 방송: ‘대학 농성 주도단체는 헤즈볼라와 같은 이란의 대리조직’. 4월 29일, 폭스뉴스 진행자 M. 레빈: ‘대학 농성 참가자는 히틀러 유겐트’. 4월 30일, 클린턴 정부 재무장관 L. 서머스 X(트위터) 멘션: ‘대학 내의 팔레스타인 깃발 그 자체가 반유대주의 테러를 의미’. 같은 날, 공화당 의원 N. 말리오타키스: ‘반유대주의 행위를 막지 못하는 대학에 정부 지원 중단법 만들 것’.

 

더 적나라한 것도 있다. 농성을 주도하거나 참여하는 학생들에 대한 신상털기, 당사자뿐 아니라 가족과 친척의 연락처까지 온라인으로 공개하기, 그렇게 해서 온갖 협박 유도하기. 이들을 취업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공유하기 등등. 심지어 해당 리스트에 오른 학생들에게 고용금지 조처를 공언하는 기업도 있고, 학생들 움직임에 강경하게 대응치 않는다면 약정 후원금을 내지 않겠다고 대학에 통보하는 부호들도 있다.

 

‘반유대주의’라는 형틀로 미래의 주역인 청년들을 옥죄는 미국. 미국은 지금 자신의 미래를 옥죄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