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만이 사는 부산 도심에 생화학무기 실험실이라니…”
등록 :2016-07-05 15:57수정 :2016-07-06 11:38
김광수 기자
부산 시민사회단체 반발, 상경투쟁과 서명운동 나서
1980년 운영을 시작한 부산 남구 감만동의 부산항 8부두 직선거리 3㎞ 안에는 초·중·고교 20여곳과 아파트 20~30여곳, 유엔기념공원·부산역 등 공공기관과 공공시설들이 있고 북항 재개발사업도 진행되고 있다.
미군은 생화학무기 방어 전략인 ‘주피터 프로젝트’에 따라 부산항 8부두에 치사율이 매우 높은 탄저균 등을 실험하는 생화학무기 실험실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11월까지 생화학무기 실험실에 필요한 장비와 인력을 부산항 8부두에 들여와 내년부터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앞서 우리 국방부와 미군은 지난해 12월 “미군이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에 사균(死菌) 처리된 탄저균을 들여와 용산·오산기지 등에서 16차례나 훈련용 시험을 했으며 페스트 사균도 한 차례 들여왔다”고 밝혔다.
부산의 시민사회단체들은 생화학무기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탄저균 등이 외부에 유출되면 인명 피해가 우려된다며 부산항 8부두에 생화학무기 실험실이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고 있다.
지난 5월 부산의 시민사회단체 등 80여곳이 꾸린 ‘주한미군 생화학무기 실험실 설치를 반대하는 부산시민대책위원회 준비위원회’는 부산항 8부두의 생화학무기 실험실을 저지하기 위해 6일 서울로 간다. 아침 7시30분 부산시의회 앞에서 버스를 타고 출발해 서울에 도착한 뒤 주한 미국대사관과 국방부를 방문해 기자회견을 하고 항의 서한을 전달할 예정이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서한문을 통해 “미국 본토에서조차 사막 한가운데에 설치해놓고 진행하는 생화학무기 실험을 350만명의 시민이 살고 있는 부산에서 하겠다는 것은 부산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부산항 8부두 생화학무기 실험실 설치 계획을 철회할 때까지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주피터 프로젝트의 포기를 촉구할 계획이다.
준비위원회는 지난 4일 부산시와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에 주피터 프로젝트 동의 여부와 입장 및 민관 합동 감시체계 구성 등을 묻는 질의서를 보냈다. 앞으로 주피터 프로젝트 반대 서명운동을 벌여 국회와 정부 및 한미연합사령부에 서명 명부를 보낼 계획이다.
김희선 준비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은 “탄저균은 흡입 뒤 사흘 안에 적절한 조처를 취하지 않으면 90% 이상의 치사율을 보인다. 주피터 프로젝트가 북한군의 생화학 공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위험한 세균을 두고 실험한다는 자체가 중요하다. 1979년 옛 소련에서 탄저균 실험을 하다가 주민 64명이 사망한 것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독립기념일 240돌 기념 축하행사가 열리는 부산을 방문한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는 5일 부산시청 기자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부산의 시민단체 대표들을 6일 서울에서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 “특별히 드릴 말씀이 없다”며 주피터 프로젝트 문제와 관련해 즉답을 피했다.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독] “북 로켓추진체 폭파 기술에 사드 무용지물” (0) | 2022.10.01 |
---|---|
낡은 ‘냉전’ 회귀로 땅에 떨어진 미국 위상 부활은 불가...코로나 재앙과 파탄난 세계 경제 복구에 주도 역할이 정답!! (0) | 2022.10.01 |
[단독] 주한미군, 서울 복판 기지서 '지카 실험' 추진 (0) | 2022.10.01 |
[단독] 주한미군 ‘탄저균 실험’ 극비 진행했다 (0) | 2022.10.01 |
탄저균의 역사 ①] 미국과 731부대의 거래 (0) | 2022.10.01 |
댓글